국내 편입은 대부분이 알고 있다 싶이
편입 영어 + 편입 수학 으로 되어 있습니다..
( 영어의 경우 듣기는 없고, 오로지 객관식 문제뿐입니다. )
하지만 최상위권 대학 (고려/성균 기타 등등) 의 경우,
영어 시험 후에 전공 면접이라는 것을 별도로 봐서, 편입 영어/수학에서 충당하지 못했던 편입의 변별력을
만들구요..
중위 하위권 대학에서는 편입 영어/수학만 보는게 아직은 대세입니다.
건국대의 경우 , 자소서 / 면접 이라는 이상한 유형을 작년 편입부터 적용했는데,
제가 경험해 본 바로는 병신 같습니다.
자소서로 뽑는 1차 시험의 경우, 스펙을 보는 건지, 자소서를 보는 건지도 확실치 않고,
좀 웃기지도 않습니다. 뭐.. 학교마다 특징이 있을 수 있으니, 상관없겠지만,
기본적으로 건국대도 전공에 대한 준비를 해 둬야합니다.
그리고 별도로 전공 시험 및 공인 영어 시험 점수를 보는 대학이 있습니다.
대표적으로는 연세대 / 시립대 / 산업대 / 지방 거점 국립대 가 모두 1차는 공인영어 성적(토익/텝스 같은..)
와 대학 성적을 보며,
2차 시험의 경우, 전공 심화 시험을 봐서 편입의 기본적인 취지를 잘 살리고 있습니다.
참고로 전공 시험의 경우, 2년 동안 해당 학과의 기본적인 필수 전공들을 충실히 이수 했다면,
장기간의 시험 준비 없이, 바로 응시해서 합격할 수 있기 때문에 상당히 매력적입니다.
공인영어의 경우, 기본적인 영어 실력만 있다면, 공대 기준 800점 / 상경 계열 900점 정도만 되면,
문제가 없기 때문에, 동일한 학과로 지원 할 분의 경우,
손쉽게 편입이 가능합니다.
----------------------------------------------
이상이 기본적인 대학별 편입 유형이고, 편입수학 및 편입 영어의 준비 기간에 대해 말해 보겠습니다.
일단 기본적인 인문계 고등학교 교과 과정의 기본적인 것만 이해한다고 해도, 대충 1년이면, 웬만한곳에
다 갈 수 있습니다만, 상위권 대학의 경우에는 어학연수 / 유학파가 상당히 많아, 애로 사항이 많습니다.
단순히 대학 간판만 보고, 경쟁력이 떨어지는 학과에 써서 합격 할 수 도 있지만, 상경계열이나 법학(로스쿨)
이 있는 학과등은 졸업 후에도 어느정도 경쟁력이 있기 때문에,
경쟁률이 높습니다..
게다가 편입 유형상,
시험일만 겹치지 않는 다면, 모든 학교에 원서를 접수 할 수 있습니다..
그렇기에 대부분 상위권 대학 합격자 들이 여러 대학에 합격하는 경우를 많이 볼 수 있고,
합격권 이상의 실력을 가지지 못하는 사람에게는 상당히 불리하게 작용 합니다.
고등학교 처럼 원서로 승부하는게 통하지 않으니까요..
고로 제대로 된 준비만이 합격을 가늠하는 기준이 될 수 밖에 없으니...
마음 단단히 먹으세요.. ㅡㅡ;;
광고글이 아니기 때문에 학원이나 교재를 추천해 드리고 싶지는 않습니다..
영어 교재 특성상 문법 / 어휘 / 독해 이런식의 기본적인 구성의 책만 어느 회사 것을 구입해도,
솔직히 별 차이 없습니다. 공부 하는 사람에 달렸지, 교재의 영향은 최근에 와서는 점점 영향력이 떨어지고
있으니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