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팔방미인!! 유니콘 MvixPVR ( 벤치클럽 ) 의 티스토리

카테고리 없음

by rockcd 2009. 2. 6. 12:29

본문

반응형
본 리뷰는 벤치클럽 에서 제공 하는 정보입니다.
서비스 비용은 무료이며 본 서비스를 받고싶은분은
 서비스신청 버튼을 클릭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팔방미인!! 유니콘 MvixPVR

팔방미인

 

팔방미인! 유니콘 MvixPVR

 

 디빅스플레이어가 첫 선을 보이던 때는 동영상, 음악, 사진 등 멀티미디어 파일의 재생기능만을 지원했지만 최근에는 PC와 연결하여 네트워크 재생은 물론이고, 단순한 플레이어가 아닌 영상의 녹화와 간단한 편집까지 가능한 PVR기능을 탑재한 제품도 선을 보이고 있습니다.

 

 MvixPVR은 이에 더하여 인터넷 연결 기능을 지원하여 유튜브, 야후의 동영상 검색 및 재생, 피키사 웹 앨범 검색,  도시별 날씨 조회, 방송사 RSS뉴스 보기 및 간단한 파일서버기능까지 지원하고 있어 다양한 용도로 사용할 수 있는 제품입니다.

 

 

 간단하게 스펙을 확인해 보면 Linux 를 기반으로 작동하고 있습니다. 영상 코덱 지원을 보면 TS, TP같은 고해상도 영상을 지원하지만 최근 많이 사용하는 H.264나 WMV같은 코덱은 자체 재생하지 못하고 MvixFTS라는 프로그램을 통해 재생하게 됩니다. HDMI와 콤포넌트로 최대 해상도 1080i 출력 까지 지원하므로 FullHDTV와도 궁합이 잘 맞습니다.

 

 

MvixPVR 제품 구성

 

 

 제품을 담고 있는 박스는 손잡이를 부착해서 운반하기 쉽게 만들어져 있습니다. 뒷면에는 제품 기능과 스펙이 상세히 표기되어 있습니다. Designed by MVIX in Korea라는 문구가 보이는데 디자인은 국내에서 했지만 MvixPVR본체는 중국에서 제조되었습니다. 박스를 개봉해보면 완충재를 겸하는 종이박스안에 본체 및 부품들이 잘 포장되어 들어있습니다.

 

 

 구성물을 보면 MvixPVR본체, 5dBi안테나, 리모콘, 전원 어댑터, HDMI-HDMI케이블, 3RCA케이블, USB케이블, HDD고정용 나사, AAM 배터리, 사용설명서, 프로그램 CD가 들어있습니다. (사진촬영하면서 실수로 설명서와 CD르 빠트렸네요. -_-;)

 

 

 리모콘을 이용해서 MvixPVR의 모든 기능을 사용할 수 있고 iPod도킹 모드에서는 iPod 조작도 가능합니다. iPod에서 사용가능한 버튼은 iPod그림이 그려져 있어 쉽게 이용할 수 있도록 만들어져 있습니다.

 

 

 전원은 외장 어댑터(12V, 3A)를 이용해 공급받게 됩니다. 어댑터 용량상 전기를 많이 소비하지는 않을 것 같네요.

 

 

 사용설명서는 화면사진과 함께 설명을 집어 넣어 이해하기 쉽게 만들어 졌는데 각 기능에 대한 자세한 설명이 조금 부족해 보였습니다. CD에는 동영상 실시간 변환 프로그램인 MvixFTS가 들어있습니다.

 

 

MvixPVR 살펴보기

 

 

 직사각형 형태의 좀 큼지막한 본체는 다양한 기능과 달리 단순, 깔끔한 디자인을 하고 있습니다. 전면엔 반투명의 광택 패널이 사용되었고 전원 버튼과 조작버튼이 있으며, 중앙에는 작동상태를 표시해주는 LCD창이 숨겨져 있습니다. 디자인은 깔끔해서 좋긴 한데 전면 USB포트가 없어 USB장치 사용할때 조금 불편함 감이 있습니다. USB장치를 자주 사용한다면 연장 케이블을 하나 빼두는 편이 여러모로 편리합니다.

 

 

 본체 조작버튼은 4방향 스틱과 버튼 기능을 하는데 MvixPVR의 모든 기능을 사용하기엔 불편합니다. 리모콘이 어딘가에 숨어서 찾지 못할때 마지막으로 사용하는 수단이 되겠네요. 조작버튼 주위로는 블루 LED가 있어 리모콘 신호 수신상태를 알려줍니다.

 

 

 LCD에는 MvixPVR의 현재 작동상태 메시지, 화면출력 방식, iPod도킹상태, 반복 재생 여부, 음소거 상태 등이 표시됩니다. 그런데 액정 화면이 좀 어둡고 시야각도 좁은 편이라 약간 불편한 점이 있습니다.

 

 

 상단에는 iPod을 연결할 수 있는 단자가 있습니다. iPod을 연결하면 MvixPVR리모콘을 이용해서 조작할수 있고 영상이나 음악을 MvixPVR과 연결된 장치로 출력할수 있습니다. 충전도 지원하므로 iPod 사용자라면 매우 매력적인 기능이 될 것 같습니다.

 

 그런데 단자가 외부로 그대로 노출되어 있어서 파손이나 이물질에 대한 대비가 조금 부족해 보입니다. 슬라이딩 방식의 덮개를 부착하는 등 개선이 필요해 보입니다.

 

 

 우측면은 HDD베이 덮개가 있고 약간의 통풍구가 뚫려 있습니다. 좌측면은 별다른 특징이 없습니다.

 

 

 후면은 입출력 단자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전원은 외부 어댑터를 이용해서 공급받게 되는데 이동성은 좀 떨어지지만 본체의 발열을 줄일수 있는 장점이 있습니다. HDD와 MvixPVR에서 발생하는 열을 밖으로 빼내기 위한 쿨링팬도 부착되어 있습니다.

 

 

 자료 이동을 위한 포트 구성을 보면 PC와 연결해서 데이타를 주고 받을 수 있는 USB 포트(슬레이브), USB저장장치와 직접 연결해서 사용할 수 있는 USB 호스트 포트 2개, 10/100Mbps 랜포트가 있고 무선랜 사용을 위한 안테나 단자가 마련되어 있습니다.

 

 

 영상출력은 HDMI 1.1(480p, 720p, 1080i), 콤포넌트(480p, 720p, 1080i),콤포지트를 지원하며 사운드 출력은 Coaxial, Optical, 스테레오 RCA출력을 지원하고 있습니다. 쿨링팬은 자체 작동 소음은 크지 않은데 통풍구를 통과하는 바람소리가 큰편이라 조용한 곳에서는 다소 신경쓰일수도 있겠네요. 임시 처방으로 통풍구의 1/3정도를 막아주면 소음이 크게 감소하네요.

 

 

 무선랜은 802.11b/g를 지원하여 최고 54Mbps의 속도로 연결되는데 일반적인 디빅스 파일들을 재생하기엔 충분한 속도지만 TP, TS파일 같은 HD녹화 파일들을 스트리밍으로 재생하기엔 조금 부족한 속도입니다. 유선랜을 이용하면 해결할수도 있지만 무선의 장점이 있는 만큼 11n을 지원했다면 하는 아쉬움이 있기도 합니다.

 

 

 바닥면에는 통풍구가 있어 공기순환을 돕고 있고 모서리 마다 고무 받침이 있어 미끄러짐 방지 및 충격완화 기능을 하고 있습니다.

 

 전체적으로 봐써 깔끔한 디자인을 하고 있지만 iPod도킹 기능 때문인지 기존 HDD내장형 Divx플레이어와 비교하여 크기가 좀 큽니다. 전원도 외장 어댑터를 쓰는 만큼 크기를 더욱 줄일 수 있었을 것 같은데 좀 아쉽네요.

 

 

 

HDD 설치

 

 MvixPVR은 3.5인치 SATA방식의 HDD를 장착해서 사용할 수 있습니다. 1.5TB HDD가 내장된 제품도 있으므로 현재 판매중인 SATA HDD는 용량에 관계없이 모두 사용할 수 있는 것 같습니다.

 

 

 우선 바닥면의 HDD베이 덮개 나사를 풀어야 합니다. 1자 드라이버가 필요하네요.

 

 

 덮개를 열어 보면 내부에 플라스틱 HDD가이드가 들어있습니다. 가이드를 이용해서 HDD를 설치하게 됩니다. SATA전원과 데이터 케이블은 일체형으로 만들어져 있습니다.

 

 

 별도 포함되어 있는 나사를 이용해서 사진과 같이 방향에 주의해서 가이드와 HDD를 결합하면 됩니다.

 

 

 HDD를 베이에 집어넣고 SATA전원 및 데이타 케이블을 HDD에 연결 후 덮개를 조립해주면 HDD설치가 끝나게 됩니다. 별로 어려운 작업이 아니므로 초보자라도 쉽게 설치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MvixPVR 사용 전 준비과정

 

 MvixPVR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HDD포맷과정을 거쳐야 하므로 혹시라도 중요한 데이터가 저장된 HDD라면 백업부터 해야 합니다.

 

 

 HDD 설치 후 처음 전원을 켜게 되면 HDD의 데이타가 모두 지워진다는 경고문구와 함께 포맷 과정이 진행되는데 조금 복잡하게 파티션이 나누어지고 첫 포맷 과정에서 크기를 지정하면 다시 포맷하기 전에는 크기 조정이 불가능하므로 영역 분배를 잘 생각해야 될 듯 합니다.

 

 

 HDD 포맷과정에서 위와같이 크게 3개의 영역으로 나누어지게 되는데 각 영역의 특징이 있습니다.

 

 

 타임시프트 영역은 최소 1시간부터 최대 4시간까지 지정할 수 있습니다. 타임시프트 전용으로 사용되며 다른 용도로 사용할 수 없으므로 적절하게 정해주면 됩니다. <전체 HDD용량중 타임시프트에서 설정하고 남은 용량을 Step2에서 사용하게 됩니다.>

 

 

 Recording & Multimedia Disc 영역은 한쪽을 최소 10% 이상 설정해야 됩니다. 용량 표시를 %로 표시하다 보니 약간 불편하네요. Recording Disc영역은 녹화 전용으로만 사용되며 최고화질로 1시간 녹화하는데 약 4.27GB의 용량이 필요합니다. Recording Disc영역의 파일은 MvixPVR내에서 삭제하거나 Multimedia Disc영역으로 복사할 수 있고 윈도우상에서는 인식되지 않습니다.

 

 

 Multimedia Disc영역은 다시 FAT32파티션과 NTFS파티션으로 나누어지게 되며 PC와 연결하면 각각 별도 드라이브로 인식됩니다.

 

 FAT32는 MvixPVR로 녹화한 파일을 PC로 옮길 수 있도록 저장하는 공간으로 사용하거나, UPnP Media Server기능에서 업로드 공간으로 사용되기도 합니다. 물론 재생파일을 저장하는 용도로도 사용할 수 있습니다.

 

 NTFS파티션은 재생전용 파일을 저장하는 용도로 사용합니다. NTFS파티션에 저장되어 있는 파일은 MvixPVR에선 오직 읽기만 가능하고 삭제, 이름변경 등은 PC에 연결해서 작업해야 됩니다.

 

 

 모든 과정이 끝나고 나면 포맷이 실행됩니다. 250GB HDD를 포맷하는데 약 2분 30초 정도 걸린것 같습니다. 여기까지 작업을 마치면 MvixPVR 을 사용하기 위한 모든 준비가 끝납니다.

 

 

MvixPVR 기능 살펴보기

 

 

 기능에 앞서 화질부터 잠깐 살펴보면 42인치 PDP에 HDMI 해상도 1080i로 설정하니 칼같은 가독성을 보여줍니다. HDMI로 연결하니 오디오도 따로 연결할 필요없이 해결되므로 선정리도 매우 간편했습니다. 위의 사진은 카메라 플래시 때문에 색상이 좀 허옇게 나왔는데 실제로는 원 색감이 잘 살아나는 화면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참고로 Dell2407모니터에는 HDMI단자가 없어서 HDMI-DVI케이블을 이용해 봤는데 아쉽게도 480P만 활성화 되고 720P나 1080i는 설정할수가 없었습니다.

 

<아래 메뉴화면부터는 사용기 작성 편의상 TV카드를 이용해 입력받은 화면을 캡쳐받은 것이라 화질이 떨어져 보일수 있습니다!>

 

 

 HDD포맷이 끝나고 나면 로딩과정을 거쳐 메뉴선택 화면이 나오게 됩니다. 메인 메뉴는 7개로 나누어져 있는데 각 기능에 대해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1) Media Library

 

 

 Media Library는 USB, 내장 HDD, 네트워크 공유폴더에 있는 미디어 파일을 재생할 수 있으며 상단의 메뉴 선택에 따라 모든 파일 또는 음악, 사진, 영화 파일만 선택적으로 나타낼수 있습니다. 파일 선택 화면은 윈도우 탐색기 처럼 폴더 구조를 지원하고 있고, 재생할 수 있는 파일은 미리보기 창이 뜨면서 관련 정보도 확인 할 수 있습니다.

 

 

 탐색 화면에서 리모콘의 FUNC버튼을 누르면 파일 이름 변경과 삭제 기능도 지원하고 있습니다. 단 FAT32파티션에 한하며 NTFS는 지원하지 않았습니다.

 

 

 영상 재생 중 지원하는 기능으로 영상 확대(2x, 4x, 8x), 느리게 재생하기(3/4x, 1/2x, 1/4x, 1/8x, 1/16x)를 지원하며 특정 시간대로 바로 이동할 수 있는 GOTO 기능을 지원합니다. SMI같은 외부 자막파일, 다중 오디오 파일 역시 잘 지원해주고 있습니다.

 

 

 정품 DVD를 ISO 이미지 파일로 만들어서 재생해보니 DVD플레이어 처럼 모든 메뉴선택 화면을 사용할 수 있고 챕터 넘기기, 오디오 선택, 자막 선택 같은 DVD의 기능을 모두 지원했습니다. DVD를 ISO로 만들어 Media Library에 넣어두면 매번 DVD찾을 필요도 없고 미디어에 손상이 갈 염려도 줄어드는 장점이 있습니다.

 

 팟플레이어로 녹화한 TS, FusionHDTV로 녹화한 TP파일 모두 잘 재생되었고, 이외에 팟 인코더를 이용해 여러가지 코덱으로 인코딩해서 재생해보니 DivX3, DivX4, MP4, MSMPEG4V3(MP43) 코덱으로 인코딩한 파일은 정상적으로 재생되었습니다.

 

 MKV파일은 H.264코덱이 아니라면 재생된다고 나와 있는데 팟 인코더 MKV파일은 XVID나 MP43를 사용하더라도 음성만 나올 뿐 재생에 좀 문제가 있습니다. MSMPEG4V2(MP42), H.264는 MvixFTS를 이용하라는 메시지가 나오며 재생이 되지 않았고 FLV파일은 탐색기 목록에 표시되지 않아서 재생을 할수가 없었는데 확장자를 MP4로 바꾸면 탐색기 목록에 표시되고 미리보기도 지원되지만 전체화면에서는 음성만 나올뿐 영상이 출력되지 않는 버그(?)가 있었습니다.

 

 

 MvixPVR에서 직접 재생할 수 없는 H.264, WMV, RMVB, MOV 코덱 파일은 2가지 방법으로 재생할 수 있습니다. 첫째는 인코딩 프로그램으로 MvixPVR에서 지원하는 파일로 변환하는 원초적인 방법이고, 두번째는 MvixFTS라는 전용 프로그램을 이용해서 PC에서 실시간으로 변환하여 네트워크를 통해 MvixPVR에서 재생하는 방법이 있습니다. 때문에 PC와 유무선 공유기나 허브같은 네트워크 연결 장치가 추가로 필요합니다. MvixFTS 설치 후 멀티디미어 파일이 들어있는 폴더를 공유시켜 놓으면 MvixPVR에서 네트워크 접속을 통해 접근이 가능해집니다. H.264같이 변환이 필요한 영상을 선택하게 되면 MvixFTS가 자동으로 실시간 변환 하여 MvixPVR로 데이타를 전송해주게 됩니다.

 

 

 MvixFTS를 사용하면 H.264, WMV, MOV, RMVB코덱 파일을 복잡한 과정 없이 실시간 변환하여 볼 수 있는 장점이 있지만 이를 지원해줄 수 있을만큼 충분한 사양의 PC를 갖춰야 합니다. E8400 (듀얼코어, 3GHz) / P35보드 / 8GB 메모리 / 윈도 비스타 64비트 / ipTime N104 공유기 / 100Mbps 유선랜 연결 환경에서 MvixFTS관련 프로세스가 50~60%를 CPU사용량을 보였는데 720p 해상도의 동영상은 원활하게 재생할 수 있었지만 1080i 이상의 동영상은 버퍼링이 자주 발생하며 원활한 재생이 불가능했습니다. 무선연결은 주변 여건 등으로 인해 공유기와의 링크 상태가 불안정해서 그런건지 아니면 54Mbps로는 충분한 대역폭이 확보가 안되서 그런가 유선랜에 비해 자주 멈칫거리는 화면을 보여주어 안정성과 속도에서 다소 떨어졌습니다. 특히 공유기와 거리가 멀어지거나 장애물이 많을수록 안정성이 떨어지므로 되도록이면 유선연결을 이용하는 편이 낫습니다.

 

 MvixFTS를 사용하게 되면 PC사용에 따른 전기요금이 추가로 들기 때문에 반복해서 볼 영상이라면 MPEG2나 Dvix, Xvid같은 코덱으로 변환해서 MvixPVR의 HDD에 저장해두는 것이 여러모로 이득일 것 같습니다.

 

 

 음악파일은 파일 리스트에서 재생하려는 파일을 선택하면 되고 tag정보 및 재생시간, 크기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시각효과를 지원하지는 않지만 음악 파일 재생 도중 탐색기를 사용하여 사진 슬라이드 쇼를 실행할 수 있습니다.

 

 

 사진 보기 기능 역시 탐색기에서 미리 보기를 지원하며 전체화면으로 보기, 회전, 부분 확대(2x,4x,8x,16x) 기능, 다양한 화면 전환 효과가 더해진 슬라이드 쇼를 지원하고 있습니다.

 

 Media Library의 파일 재생 기능은 기존의 디빅스 플레이어의 기능과 큰 차이를 보이지는 않았습니다. 다만 코덱지원에서 H.264를 자체 지원하지 않아 아쉬운 부분이었습니다. MvixFTS를 사용하면 재생이 가능하긴 하지만 이를 사용하기 위한 여러가지 환경(네트워크, PC등)이 갖추어져 있어야 하는 점이 단점입니다.

 

 

2) Mvix Live

 

 

 Mvix Live는 인터넷 연결을 통해 Mvix Live, YouTube, Yahoo의 동영상 검색 및 재생, Picasa의 사진 검색, Whather의 날씨정보, Stock의 주식, RSS News에서는 CNN, NPR, BBC뉴스를 읽어볼 수 있습니다.

 

 

 YouTube는 직접 단어를 입력해 검색을 하거나 웹사이트에서 제공하는 추천 동영상, 많이 본 동영상, 화제의 동영상, 즐겨찾기 동영상 링크를 쉽게 검색할 수 있도록 메뉴가 제공됩니다.

 

 검색기능의 단어 입력은 키보드 화면이 나오면서 숫자/알파벳/특수문자를 리모콘으로 선택해 입력할 수 있는데 한글 입력은 지원되지 않았습니다.

 

 

 각 영상들은 PC를 이용해 YouTube에서 검색한 결과와 동일했고 해당 동영상에 대한 정보도 확인이 가능합니다. 검색은 국가 콘텐츠-전세계, 기간-이번 달을 기본값으로 결과가 나타나고 [오늘/이번 주/이번 달/전체기간]으로 검색 기간을 변경할수도 있습니다. 국가 변경은 지원되지 않아 한국 컨텐츠에 대한 접근성은 떨어졌습니다.

 

 YouTube 동영상 검색과 재생은 웹사이트를 이용하는 것과 동일하게 사용할 수 있어서 심심할때 매우 재밌는 기능이기는 한데 몇가지 단점도 있었습니다. 일단 한글 입력을 지원하지 않아 한글 제목으로 된 동영상을 검색할 수 없고, 얼마전 부터 지원하기 시작한 [고화질로 보기]가 지원이 되지 않아 대화면에서 보기엔 화질이 만족스럽지 못했습니다.

 

 

 Yahoo는 YouTube와 달리 Yahoo Video웹사이트의 검색 결과와는 전혀 다른 결과를 보여주고 검색된 동영상 중 일부만 재생이 가능해서 아직 정상적인 사용이 불가능 했습니다. 펌웨어 업데이트를 기다려 봐야 할 것 같습니다.

 

 

 Picasa는 구글의 웹앨범에 저장되어 있는 사진들을 키워드 혹은 계정이름으로 검색해 볼수 있는 기능입니다.

 

 

 위와같이 shrek 키워드로 검색을 해보면 슈렉 관련 이미지들이 검색되어 썸네일로 보여집니다. 리모콘으로 특정 사진을 볼 수 있고 확대, 회전이 가능하며 검색된 전체 사진에 대해 슬라이드 쇼도 지원하고 있습니다. TV를 보다가 어떤 배우나 사물에 대한 관련 사진을 좀 더 보고 싶다면 바로 검색해 볼 수도 있으므로 재밌게 사용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키워드 검색 보다 좀 더 유용한 기능이 ID 검색기능인데 Picasa 웹앨범에 자신의 계정을 만들고 사진을 업로드 하면 계정 검색을 통해 업로드 된 사진을 볼 수 있습니다. Picasa 웹앨범의 폴더 구조를 지원하고, 자체 슬라이드 쇼 기능까지 지원하므로 매우 유용한 기능인 것 같습니다. 다만 앨범을 공개 설정으로 두어야만 검색이 가능하므로 사용상 약간의 제약이 따릅니다.

 

 

 Weather는 아시아와 유럽 각국의 도시별로 날씨 정보를 확인할 수 있는 기능입니다. 첫 화면에서 Asia/Europe -> 국가선택 -> 도시 선택으로 해당 지역의 날씨를 확인할 수 있는데 유럽국가는 아직 제대로 작동이 안됐습니다. 그리고 북미, 남미, 아프리카는 아직 지원이 안되고 있고 각 국가 및 도시 이름이 영어로 나오기 때문에(한국은 South Korea, 북한은 Korea로 나오기도 합니다) 조금 불편한 점도 있었습니다. 각 나라의 도시는 거의 대부분 지원할 정도로 세밀화 된점은 좋네요.

 

 

 해당 도시의 날씨 정보는 위와같이 4개의 분할 화면으로 나오며 오늘의 날씨와 기후 정보, 향후 4일간의 기상 정보, 위성사진 등이 함께 제공되고 있습니다. 영어로 나온다는 점만 빼고는 나름 쓸만한 기능 같습니다.

 

 

 RSS News는 CNN, NPR, BBC의 뉴스기사를 읽어볼 수 있는 기능으로 해당 방송사 선택->섹션 선택->기사 선택->기사 보기 순으로 이용이 가능합니다. 실시간으로 기사 검색이 가능하므로 좋은 기능이기는 하지만 외국 사이트만 지원하므로 국내 기사를 접할 수 없는 점이 단점입니다.

 

 MvixLive기능은 인터넷과 연결하여 다양한 컨텐츠를 실시간 검색 및 재생할 수 있어 매우 재밌고 편리한 기능임에는 틀림없습니다. 다만 아직 베타 펨웨어인만큼 아직 모든 기능이 완벽하게 작동하지 않았고, 국내 사이트와 컨텐츠에 대한 접근 기능이 미비한데, 한글 검색 지원, RSS News의 국내 사이트 지원 같은 국내환경에 맞는 콘텐츠의 추가가 필요해 보입니다.

 

 

3) Digital Recorder

 

<그래픽 카드의 TV-OUT을 MvixPVR로 입력받은 화면>

 

 Digital Recorder는 외부 입력 영상을 녹화할 수 있는 PVR(Personal Video Recorder)기능입니다. 콤포지트 출력이 되는 셋탑박스, 게임기, DVD플레이어, PC, CCTV카메라 등 어떤 기기라도 연결해서 디지탈 영상으로 저장할 수 있습니다. 기능을 선택하면 외부 입력 화면이 나타나며 녹화버튼을 이용해서 MPEG2파일로 저장할 수 있습니다. 녹화 영상은 나중에 Recordings Library에서 간단하게 편집할 수 있습니다.

 

Mode평균 비트레이트PAL해상도NTSC해상도오디오
HQ1,096 KB/s720x576720x48048KHz stereo, 256kbps
SP549 KB/s720x576720x48048KHz stereo, 256kbps
LP355 KB/s720x576720x48048KHz stereo, 256kbps
EP257 KB/s352x576352x48048KHz stereo, 256kbps
SLP178 KB/s352x576352x48048KHz stereo, 192kbps

 

 화질은 5개 모드를 지원하며 HQ모드가 가장 좋은 화질을 보여줍니다. 입력신호 품질만 좋다면 SP모드로 저장하더라도 깨끗한 화질로 녹화되었고 HQ모드로 저장하더라도 그리 큰 용량을 차지하지 않았습니다.

 

 

 위의 화면은 HQ모드로 TV를 녹화한 파일을 PC로 옮겨와 재생해본 것인데 거의 DVD에 근접하는 화질을 보여줄 정도로 깨끗하게 녹화되었습니다. 녹화 기능은 TV방송 녹화뿐만 아니라 PC의 TV-OUT기능을 이용한 컴퓨터 화면 녹화, 콘솔 게임기 화면 녹화, 비디오테잎의 디지탈 파일화 작업, CCTV캠코더와 연결하여 보안용도로 활용하는 등 다양하게 사용이 가능합니다.

 

 

<타임시프트 테스트>

 

 Digital Recorder내에서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는 기능이 바로 TimeShift기능입니다. 만약 TV튜너와 연결해서 생방송을 입력받고 있는 상태라면 잠시 다른일을 하느라 TV시청을 못해도 TimeShift 기능을 이용해서 일시 정지 시켜 놓고 일을 마친 후 정지한 부분부터 계속 이어서 시청할 수 있습니다. TimeShift는 전원을 켠 직후 외부 입력신호를 감지하면 자동으로 작동하도록 설정이 가능하므로 타임쉬프트로 저장된 만큼 언제라도 되돌려 보고 다시 실시간 방송시점으로 돌아올 수 있어서 매우 편리했습니다.

 

 

4) Recordings Library

 

 

 Recordings Library는 Digital Recorder나 Timer를 이용해서 녹화한 파일을 편집할 수 있는 기능으로 재생, 자르기, 붙이기, 챕터 생성, PC에서 재생하기 위한 파일 생성 작업등을 할 수 있습니다. 기능을 선택하면 기존에 녹화된 파일들이 보여지고 파일을 선택해서 작업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HDD의 남은 용량과 각 녹화모드를 선택했을때의 녹화 가능시간이 표시됩니다. 위의 화면을 보면 47GB의 녹화 공간이 남아있고 최고 화질인 HQ로 11시간, 최저 화질인 SLP로는 67시간 녹화가 가능한 것으로 표시됩니다.

 

 

 상단의 메뉴를 보면 녹화된 파일을 재생/삭제/이름변경/정렬/편집을 지원함을 알 수 있는데 이름 변경은 영어로만 가능합니다. 정렬 기능은 녹화파일 목록이 보여지는 순서를 변경합니다.

 

 

 타이틀 편집은 간단한 편집 기능으로 썸네일 설정(동영상의 특정 화면을 타이틀 목록의 썸네일 화면으로 지정), A-B구간 자르기(영상에서 특정 부분만 잘라내기), 타이틀 분할(1개의 영상을 2개로 나누기), 타이틀 병합(2개의 영상을 이어서 1개로 만들기), 챕터마크 추가/제거(특정 위치로 바로 빨리 이동할 수 있도록 동영상에 챕터를 지정)를 할 수 있습니다. TV를 녹화했는데 불필요하게 광고까지 녹화가 되었다면 광고부분만 삭제하는 등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습니다. 편집이 끝난 파일은 MPG파일로 저장할 수 있고 좀 더 세밀한 편집이 필요하다면 이 파일을 PC로 옮겨서 작업할 수 있습니다.

 

 

 그런데 A-B 구간 지우기를 해보니 지정한 부분과는 다소 큰 차이로 오차가 발생하며 잘리지 않아야 되는 부분은 잘리고 잘려야 되는 부분은 그대로 남아있는 경우가 간혹 발생합니다. 구간 지우기를 하면 해당 부분을 다시 복구할 수는 없으므로 타이틀 분할 기능을 이용해서 불필요한 부분을 나누면 혹시 위치가 잘못 분할되더라도 다시 병합하면 원상 복구 되므로 타이틀 분할/병합 기능을 사용하는 편이 더 안전합니다. 좀 더 정확하게 자르려면 파일 자체를 PC로 옮겨서 편집하는 것이 가장 좋습니다.

 

 

5) Timer

 

 

 Timer는 외부 입력 영상을 정해진 시간에 맞춰 녹화 하는 기능입니다. 주 용도는 TV방송 녹화일텐데 MvixPVR은 자체 튜너가 없으니 외부 입력 장치가 없이는 아무런 기능도 못합니다. TV생방송을 예약녹화 하기 위해서는 방송 수신이 가능하고 정해진 시간에 정해진 채널을 콤포지트로 출력할 수 있는 셋탑 박스나 TV튜너가 부착된 비디오 레코더 같은 별도 기기가 필요합니다. 다른 용도를 생각해보면 CCTV카메라 연결시에 퇴근 시간에 맞춰 자동으로 CCTV캠코더 화면을 녹화하도록 설정하는 것도 가능합니다.

 

 

 메뉴에서 편집을 선택하면 녹화할 날짜와 시간, 횟수(한번만, 매일, 요일별), 저장 장치, 화질을 선택하여 녹화 스케줄에 추가할 수 있습니다.

 

 예약녹화 스케줄이 추가된 상태에서 전원을 끄면 녹화 대기 모드로 들어가며 전원 버튼이 깜빡이며 녹화 스케쥴이 예약되어 있음을 알려주게 됩니다. (사용 설명서에 나와 있는 내용인데 자세히 안봤더니 이게 왜 안꺼지고 깜빡거리나 했네요. -_-;)

 

 

6) File Manager

 

 

 File Manager는 USB, HDD, 네트워크의 파일을 복사할 수 있는 기능으로 PC가 없어도 MvixPVR만으로 각 저장 장치간 파일을 복사할 수 있으므로 편리합니다. 예를 들어 USB메모리에 담아온 파일을 File Manager로 MvixPVR의 내장 HDD에 복사할 수도 있고 네트워크 연결된 PC로도 복사가 가능합니다. 단, 복사 대상의 USB와 HDD는 FAT32파일 시스템만 쓰기가 가능하고, 네트워크로 연결된 PC는 NTFS도 쓰기 가능하지만 쓰기 권한 설정이 되어 있어야 합니다. 복사 대상 장치에는 새로운 폴더를 만들기도 가능합니다.

 

 USB장치는 USB2.0을 지원하는 만큼 파일 복사속도는 꽤 빨랐습니다. USB메모리에서 HDD로 총 206MB, 351개의 JPEG사진파일을 복사하는데 약 39초 정도가 걸려서 초당 5MB/s 이상의 속도를 보여주었습니다.

 

 

7) System Setup

 

 시스템 셋업에서는 여러가지 환경 설정을 할 수 있습니다.

 

 

 언어 항목에서는 메뉴언어 및 자막언어 선택, 오디오 항목에서는 오디오 출력(HDMI LPCM/RAW, 디지털 2.1/5.1채널), 메뉴 효과음 선택을 할 수 있습니다.

 

 

 비디오 항목에서는 화면비율, 밝기, 명암, 해상도를 선택할 수 있습니다. TV 해상도는 HDMI로 연결하면 자동설정이 되고 콤포넌트의 경우 직접 해상도 선택이 가능했습니다.

 

 

 녹화 항목에서는 녹화 품질 기본값, 자동 챕터 시간 설정, 타임시프트 자동설정이 있습니다. 타임시프트를 켜놓게 되면 외부 입력이 있을 경우 자동으로 타임시프트가 작동하게 됩니다.

 

 네트워크에서는 유선 및 무선 네트워크에 대한 설정과 연결을 할 수 있습니다. IP설정은 DHCP/수동을 모두 지원하며 무선 네트워크는 AP, P2P(AdHoc)모드 지원, 무선 AP검색기능, WEP/WPA암호화 연결을 지원하고 있습니다. 유선/무선을 동시에 사용할수는 없었습니다. 무선 연결시 공유기는 SSID알림을 사용하도록 설정해야 접속이 되었습니다.

 

 

 시스템 항목에서는 시간을 설정할 수 있는데 예약 녹화를 할 경우 꼭 정확한 시간을 입력해 두어야 합니다. HDD포맷으로 각 파티션 크기를 재설정할수도 있고 기본값 복원을 통해 모든 세팅값을 초기화 할수도 있습니다. 추후 나오게 될 펌웨어로 업그레이드 하기위한 메뉴도 제공됩니다.

 

 기타 항목에서는 사진 슬라이드관련 설정과 영상 및 사진의 미리보기 사용여부, UPNP 미디어 서버 사용여부를 설정할 수 있습니다.

 

 

iPod 도킹

 

 

 MvixPVR의 독특한 기능 중 하나가 iPod도킹 기능으로 MvixPVR리모콘을 이용해서 iPod의 모든 기능을 조작할 수 있고 배터리 충전, TV-OUT 기능도 사용할 수 있습니다. 아직 모든 iPod이 완벽하게 호환되지는 않으므로 유니콘정보시스템(www.eunicorn.co.kr) 홈페이지에서 호환 리스트 확인이 필요합니다.

 

 

 iPod을 연결하게 되면 MvixPVR 전원이 OFF되어 있어도 자동으로 충전이 시작됩니다. 리모콘의 iPod버튼을 누르면 MvixPVR LCD에 iPod기종이 표시되고, TV화면이 아이팟을 들고 있는 사람 영상으로 바뀌며 iPod조작 모드로 전환됩니다. 리모콘 버튼에는 iPod에서 사용가능한 버튼은 iPod이 그려져 있어서 어떤 버튼을 사용해야 될지 쉽게 알 수 있습니다.

 

 음악을 재생할때는 위의 사람 영상만 나올 뿐 노래 제목이 TV에 나온다거나 하는 기능은 없었습니다. iPod(5th gen)의 TV-OUT기능이 사진 슬라이드쇼와 동영상 재생할때만 작동하기 때문인 것 같습니다.

 

 

 TV출력을 지원하는 기종이라면 동영상이나 사진을 MvixPVR과 연결된 디스플레이로 출력이 가능하므로 보다 큰 화면에서 영상을 볼 수 있습니다. 단, 메뉴화면이 TV로 나오지는 않기 때문에 먼 거리에서 메뉴화면을 보면서 조작하는 건 좀 힘듭니다.

 

 

 고화질 사진이나 영상은 깨끗한 화면을 보여주는데 반해 애플 사이트에서 다운로드 받은 ipod용 영화 트레일러는 해상도 때문에 화질이 많이 떨어집니다. TV-OUT기능으로 대형화면에서 보려면 고화질 영상은 필수적이네요.

 메뉴화면은 출력이 안되고 동영상 재생 및 사진 슬라이드 쇼를 실행할때 TV로 볼 수 있습니다. iPod TV-OUT기능이 작동되고 있을때는 Digital Recorder기능을 통해 iPod 재생화면 녹화도 가능했습니다.

 

 

 리모콘 사용시 딱 한가지 불편했던점이 있다면 사진 보관함에서 커서 이동을 할때 리모콘 상/하 버튼과 반대로 움직이도록 설정되어 있었습니다. 이후 펌웨어에서 리모콘 상/하 버튼에 맞춰 커서 이동을 수정해 주면 좀 더 편리할 것 같네요.

 

 

 

UPnP Media Server

 

 MvixPVR의 네트워크 연결 기능을 이용하여 웹브라우저를 통해 파일을 업/다운로드 할 수 있고 일부 코덱의 경우 스트리밍 방식 재생도 지원하고 있어 개인 미디어 파일 서버로 활용하기에 좋은 기능입니다.

 

 

 웹브라우저로 MvixPVR에 할당된 IP혹은 차후 지원할 무료 DDNS(?.mvix.net)를 이용해 도메인 이름으로 접속하면 위와같이 Mvix미디어 서버에 접속이 됩니다. 각 아이콘을 클릭하면 미디어 서버 탐색기에서 해당 파일들만을 보여주고 Mixed를 선택하면 일반 파일까지 모두 나타나게 됩니다. 미디어 서버를 통한 파일 탐색은 MvixPVR HDD에 한하며 USB나 네트워크로 연결되어 있는 장치에 대해서는 접근기능이 없었습니다.

 

 

 Setup으로 들어가면 로그인 기능 사용 여부와 계정 만들기를 할 수 있습니다. ID와 패스워드를 입력하고 Submit버튼을 누르면 로그인을 해야 메뉴에 접근이 가능합니다. 처음에 무심코 Use Login Option에 체크하고 Apply를 누르니 로그인 기능이 활성화되면서 사용할 수 가 없었는데 로그인을 할 수 없거나 패스워드를 잃어버렸다면 MvixPVR의 System Setup 시스템 메뉴의 [기본값 복원]을 선택하면 계정 초기화가 됩니다.

 

 iPod/LCD 기능 업그레이드는 펌웨어 업데이트는 아니고 iPod인식 및 LCD표시 관련 정보 업데이트 인 듯 합니다. New Version Available 메시지가 나왔을때 Upgrade를 클릭하면 자동으로 업그레이드 되고 시스템이 재부팅됩니다. 만약 최신 상태라면 This is latest Version 메시지가 뜹니다. Mvix Live Keywords 는 어떤 기능인지 설명이 없네요.

 

 

 MvixPVR의 MediaLibrary로 지정되어있는 FAT32/NTFS폴더에 모두 접근이 가능하며 FAT32 디렉토리에는 파일 매니저 메뉴를 이용해 폴더생성, 파일이름 변경, 복사/이동, 삭제를 할 수 있습니다. 여기서는 한글입력을 지원하므로 영어이름을 한글이름으로 바꾸는 것이 가능했는데 나중에 다시 PC로 다운로드 받을때는 한글명이 이상한 한자로 바뀌는 버그가 있었습니다. NTFS폴더의 파일들은 열기/다운로드만 가능할 뿐 파일 매니저를 사용할 수 없어 좀 아쉬운 부분입니다.

 

 

 파일 업로드 기능도 지원하고 있어서 네트워크 연결만 되어 있으면 어디서라도 웹하드 처럼 사용할 수 있습니다. 한번에 여러개의 파일을 업로드 할수 있는데 업로드 진행 정도가 표시되지 않아 시간이 얼마나 남았는지 좀 답답하게 느껴지네요. 업로드 파일은 FAT32영역에 저장되므로 최대 2GB크기의 파일까지만 가능합니다.

 

 대용량 파일을 업로드 할때는 Stop버튼을 누르면 영상 출력이 중지되며 전송속도를 조금 더 올릴 수 있습니다. 다만 MvixPVR의 CPU 한계때문인지100Mbps로 연결된 내부 네트워크에서도 전송속도가 초당 약 1MB/s에 그쳤고, 화면출력을 정지 시켰을때는 약 1.4MB/s를 나타냈습니다. 대용량 파일을 업/다운하기에는 시간이 좀 걸리겠네요. 참고로 Stop버튼을 사용했을때 업로드가 끝나고 Start버튼을 클릭해서 영상 출력을 재개시켜 주지 않으면 전원 OFF가 안되는 문제가 있으니 Start버튼을 꼭 클릭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혹 실수로 창을 닫았더라도 다시 업로드 창을 열면 Start버튼만 활성화 되어 있습니다.

 

 

 파일 목록에서 파일명을 클릭하면 다운로드 할 수 있고 오른쪽의 WMP, 곰플레이어, VLC Player아이콘을 클릭하면 mpg, mp43 코덱 등에 대해서는 선택한 플레이어를 이용해 스트리밍 방식으로 재생할수 있습니다. 보고 싶은 위치 부터 재생하는 것도 가능하기 때문에, 다운로드 할 필요없이 영상을 볼 수 있으므로 시간절약도 되고 매우 편리합니다. 다만 Divx, Xvid, TS, TP 코덱 등은 스트리밍 재생이 안되서 전체 다운로드 후 재생해야 했습니다.

 

 

USB HOST 기능

 

 MvixPVR 후면에는 2개의 USB호스트 포트가 있습니다. 동시에 2개의 USB저장장치를 연결하더라도 모두 사용가능하며 FAT32방식으로 포맷되어 있을 경우 파일을 재생은 물론이고 복사, 삭제, 이름변경 작업이 가능하지만 NTFS는 읽기(재생)만 가능합니다.

 

 

 여러가지 USB저장 장치를 연결해서 인식 및 재생가능 여부를 확인해 본 결과 메모리, 외장 HDD, 미니 PMP(FOCE), 카드 리더기 모두 이상없이 작동했습니다. 그렇지만 iRiver T7은 USB연결 작동이 되지 않았고, 외장 ODD도 CD/DVD를 인식하지 못했습니다. 외장 ODD의 CD/DVD 인식이 된다면 DVD플레이어 기능도 될텐데 아쉽네요.

 

 

다재다능! 하지만 2%부족함...

 

 

 MvixPVR은 다재다능이라는 단어가 딱 어울릴 만큼 여러가지 기능을 가지고 있어서 다방면으로 활용하기에 좋은 제품인 것 같습니다. 영화 보고, 사진도 보고, 음악 듣다가 심심하면 인터넷 유튜브 영상도 바로 볼 수 있고 이번주 날씨는 어떤가 확인도 하고, Picasa에 올려놓은 웹앨범 사진도 볼 수 있고, TV튜너와 연결하면 타임쉬프트와 녹화 기능을 이용해서 구닥다리 아날로그 TV도 타임머신 TV부럽지 않게 활용할 수 있고, iPod도 리모콘으로 간편하게 조작하며 조그만 액정이 아닌 커다라 TV로 즐길수 있는데다가 인터넷만 연결되어 있으면 어디서라도 미디어 파일서버로 이용할 수 있으니 만능 재주꾼이 따로 없네요.

 

 그렇지만 만능 재주꾼이 전문성이 좀 떨어지듯 MvixPVR도 각 기능에서 조금씩 불편한 부분도 있었습니다. 미지원 코덱 영상을 위해 MvixFTS를 제공해주긴 하지만 사용상 제약이 있고, MvixLive에서 국내 컨텐츠 부족, 자체 TV튜너 부재로 인해 타임쉬프트, 녹화 기능의 활용성이 다소 떨어지는 점, NTFS파티션 파일에 대한 관리 기능 부족이 가장 아쉬운 부분이었습니다. 단점을 모두 해결하자면 단가가 올라가는 문제도 있는 만큼 모두 해결할 수는 없겠지만 펌웨어 업데이트로 가능한 기능들은 최대한 지원해주면 기능도 많고 더욱 강력한 제품이 될 것 같습니다.

 


  


반응형

관련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