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인텔 코어 듀어2 e7200 필드테스트 e7200 vs e2140

컴퓨터/Hardware Review

by rockcd 2008. 7. 20. 11:58

본문

반응형


사용자 삽입 이미지
45mn 공정의 새로운 시피유인 울프데일으로서 저전력 고성능을 만족시켜줘 10만원대 중급 사용자에서 적합한 제품입니다....


작성자 : 오승태 rockcd@gmail.com




45mn 공정의 새로운 시피유인 울프데일이 출시되면서 굉장히 많은 관심을 받았었으나, 세계적인 수급 불균형으로 인한 가격적인 문제와 더불어 상위 제품인 쿼드 코어와의 가격차이 적은 것이 단점이었죠. 현재로 그다지 저렴한 편은 아니죠. 그러던중 4월에 새로운 45mn 공정의 e7200이 출시되었습니다..

e7200은 현재 경쟁사의 시피유가 큰 장점이 없는 상황에서 가격대 성능비, 저전력을 추구하는 사람에게 적합한 제품이라 생각했었는데 운 좋게 필드테스트에 선발되어 이렇게 글을 써 봅니다.

무엇을 위주로 할까.. 생각하다가, 벤치 마크 프로그램을 이용한 검증은 큰 의미가 없다고 결론을 내리고, 이러한 것들은 최소한으로 이용, 주로 제가 평소에 일반적으로 사용하던 프로그램들에 대하여 기존에 사용하던 e2140과의 오버/노오버 비교 테스트를 해 봤습니다.


]

박스 사진입니다. 정품 스티커의 경우, 안 붙어 있을수도 있기 떄문에 없을시에는 realcpu.co.kr 에서 시리얼 넘버를 조회하면 알아볼수 있습니다. 그 밖에 3mb 캐쉬에 45nm 시피유 라는 점이 표기되어 있고 봉인씰이 붙어 있는 점 정도가 특징이겠네요. 그 밖에는 기존에도 볼수 있던 점들이죠..


정품 확인 서비스로 확인한 결과입니다. 시피유 특성상 문제가 발생할 확률이 적지만, 정품의 경우 좀 더 신속하게 사후지원을 받을수 있으니까요..


포장 상태입니다. 쿨러와 시피유가 충격에도 잘 견딜수 있도록 되어 있습니다.


정품에 포함되는 메뉴얼과 시피유 스티커입니다. 한때 셀러론을 사용할때, 팬티엄 스티커를 가지고 싶다는 욕망이 있었는데, 요즘은 그냥 그렇네요.. 일반적으로 케이스 장식용으로 많이 사용하죠.. ^^


기본 제공되는 쿨러입니다. 최근에 방열판의 크기가 초코파이 정도의 두께라하여, 초코파이 쿨러라 불리는 제품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그 만큼 저발열 시피유라는 것도 되니, 일반 사용자에게는 문제가 없겠죠.

해당 쿨러의 경우, 기존에 사용하던 e2140과 제조사 및 팬 스펙이 동일하였고, 시피유와 접촉하는 면에는 서멀 패드가 붙어 있어 1회 장착시에는 별다른 조치없이도 사용이 가능합니다. (사용후에 탈착을 하게 되면 서멀그리스라도 발라줘야 합니다.)


시피유의 모습입니다. 제품에 대한 정보가 마킹되어 있고, 밑면은 봐도 잘 모르니까요.. 그냥 2140에 비해 부품이 적어보이는 정도.. ㅡㅡ;; 비교 사진만 올려봤습니다.


시피유 설치 모습입니다. 모양 맞춰 넣고, 쿨러만 장착하면 되니까요. 별다른 어려움은 없죠.. 쿨러 장착시에는 각 귀퉁이를 누른다음에 나사 조이는 방향으로 돌리면 고정이 되는데,(탈착시에는 반대로 나사 푸는 방향으로 돌린 다음에 당겨줌..) 잘 모르는 분들은 동영상으로 제작된 조립 가이드 같은 것도 인터넷상에 있으니 참고하시는 것도 좋을 것 같네요.



시피유 Z 를 통해 알아본 두 시피유간의 스펙 비교입니다. 캐쉬 , FSB , 버스속도 등 차이가 있는 모습입다.


(유니텍 다크호스 메인보드(jetway제조)입니다.) 기본 전압(1.21v)에서 fsb만 333mhz로 높여 3.17g 로 오버클럭하였습니다. 기본전압에서 그 이상 클럭을 올리면 문제가 생기더군요. 전압을 더 주면 되겠지만, 일반적인 사용자라면 복잡하게 조정하기가 힘들니, 이 정도로만 해 봤습니다. (PCIE 100mhz 고정, FSB 조정 FSB/메모리 비율 만 조정하면 됩니다.)



CPU
E2140 1.6@2.8
E7200 2.53@3.16
MEMORY
ST2 PC5300 2G*2 디직스 PC2-6400 ULTRA 1G*2 = 6 GB
VGA
이엠텍 라데온 HD 3850 XENON Show HDMI 256MB
HDD
WD SATA2 640G (7200/16M) WD6400AAKS
CASE
GMC R-3 CORONA 블랙
OS
Windows VISTA SP1 64bit
Cooloer
APACK ZEROtherm ZEN FZ 120

테스트시 사용했던 피씨의 사양입니다. E2140의 경우 기본클럭 /2.8기가로 오버 - e7200의 경우 기본클럭 / 3.17G 오버를 했을시의 결과치를 비교해 보았습니다.


피씨마크입니다.. 그냥 참고용으로 올려봤습니다.


시피유의 연산 능력을 볼수 있는 슈퍼 파이입니다. 기본적으로 시피유의 성능차이가 드러나는 결과인것 같습니다. 클럭이 높은 2140이 기본클럭인 e7200보다 낮게 나오는군요.. 버스 차이, 캐쉬 차이로 인한 결과로 생각됩니다.


크라이시스 벤치 마크툴을 이용하여 동일맵/동일 옵션으로 테스트한 결과값입니다. 게임에서도 E7200이 E2140보다 좋은 성능을 보여주네요.


어떤 인코더를 써서 테스트할까.. 생각하다가 일반적으로 많이 사용되는 곰인코더로 해봤습니다. 700mb xvid 파일을 Dvix(동일 해상도/192kb/동일프레임) 으로 변환시의 결과값입니다. 단위는 초(second)이입니다.

결과값을 봤을때 e2140을 오버클럭하면, 곰인코더에서는 대충 e7200과 비슷한 결과를 보여주는 것 같네요. 곰인코더가 클럭에 영향을 많이 받는 것 같습니다.


포토샾에서 이미지 파일 로딩시간을 비교해 봤습니다.(초단위입니다. 낮을수록 성능이 좋습니다.) 제가 디카 이미지 후보정할때 한꺼번에 파일 로딩을 하는 편이라 이와 같은 테스트를 해 봤습니다. 이것도 인코더와 비슷하게 오차범위내에서 e7200 노오버/ e2140 오버가 비슷한 성능을 보여주네요.


압축 시간(second/초)에 대한 테스트입니다. 여기에서는 결과값에 차이가 많이 났습니다. 2140오버/7200노멀 간에 40초 정도의 차이가 있으니, 단순 클럭 차이보다는 e7200의 3메가 캐쉬의 힘이 보이는 결과같네요.


위의 테스트 결과는 후크메타로 볼트(223V) * 암페어(A)를 측정한 값에 대략적인 역률 0.75(현재사용중인 파워가 패시브 PFC) 을 곱한 결과입니다. 암페어만 올려놓으면 보기 힘들것 같아서 계산했습니다. 게임플레이시 결과값은 같은 구간에서의 결과값입니다. 부하가 적은곳, 많이 걸리른 곳에 따라 +-15w 차이가 있더군요. (오차가 있으니 참고용으로만 보세요..)

대략적인 값이기는 하나, 결과를 보면 공정 차이때문인지 기본 클럭에서 E2140과 E7200의 전력소모는 비슷한 수준이라고 생각되네요. 그래픽 카드의 전력소모를 생각하면.. 게임 이외의 작업(웹서핑 정도..)에서는 (노오버시 시스템 전체 전력소모 )90~95W 정도의 전력소모를 보여줬습니다. 기본전압에서 오버클럭을 하면 대충 15w~20w는 더 사용된다고 보시면 될것 같습니다.성능뿐만 아니라 2140을 오버클럭하여 사용하는 것보다 전력 소모면에서도 이점이 있다는 정도의 결론을 낼수 있을 것 같습니다.



지금까지 e2140에서 e7200으로 바꾼 느낌을 말하자면. 사실 단순히 웹서핑이나 작업량이 크지 않은 프로그램을 실행할때는 e2140을 오버클럭해서 사용하면 큰 체감 성능 차이는 느낄수 없었습니다만 7200쪽이 단순 웹서핑 정도에서도 좀 더 빠릿빠릿한 느낌은 있는것 같네요.. (2140에서 가끔 버벅거리는 것이 없는수준..)


게다가 게임이나 포토샾같은 실제 시피유의 성능과 부하를 많이 주는 프로그램을 실행할 경우 버스, 캐쉬 메모리때문인지 e2140의 클럭을 높은데도 불구하고 e7200이 좋은 성능을 보여줬고, 실제 사용시에도 체감이 가능할 정도로 차이가 느껴졌습니다.

그리고 전력소모도 측정값에 오차가 있더라도 e2140을 오버클럭한 전력소모가 20w 정도 더 사용한다고 생각하면, 전기요금면에서 사용자에 따라 상위 시피유를 구입하여 사용하는 것이 좀 더 이익이 될수도 있을 것 같네요.


결론적으로 사용용도 및 예산?에 맞게 구입하시라는 말밖에는 못드릴 것 같습니다. E2XX - E7200 - E8XXX 제품군의 성능 및 가격차이가 적당한 상황에서.. 이것이 정답이라고 말하기도 어려울것 같구요.

그래도 공정 차이로 인한 저전력-고클럭 및 캐쉬 차이로 인한 전체적인 프로그램에서의 성능 차이 때문에, 오버클럭을 하지 않는 분이라면 가격대 성능비로는 가장 좋은 듀얼 코어 시피유가 될 것 같습니다. 부가적으로 기본클럭에서 오버클럭을 한다고 하면, 3기가 선까지 안정적으로 오버클럭을 하여 E8400이나 8500 정도와 비슷한 성능을 보여줄수 있을 것 같네요.




반응형

관련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