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AONE 태왕 500GW Dual v2.2

컴퓨터/Hardware Review

by rockcd 2008. 7. 20. 12:09

본문

반응형

벤치클럽 과 AONE 에서 주관한 필드 테스트입니다.


최근 시중에서 파는 파워를 보면 중 고급형 파워보다는 보급형 파워가 상당히 많이 출시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이러한 상황에서 보급형 파워를 고를때 일단 스펙과 가격은 비슷하지만, 태왕이라는 제품명에서 알 수 있듯이 충분한 수의 각종 커넥터와 저렴한 가격에 대용량을 자랑하는 태왕 파워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태왕 500W 스펙

제품의 박스입니다. 태왕이라는 네임처럼, 상당히 고급스러운 이미지를 강조하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특히 하드웨어가 비닐 포장된다는 것은 상당히 생소한 모습이네요. 그 밖에 파워에는 각종 인증과 파워에관한 문구가 적혀 있습니다.

박스 내부입니다. 파워의 경우 발포비닐로 포장이 되어 박스와 더불어 파워를 안전하게 보호하고 있습니다.

태왕 파워 서플라이의 구성품입니다. 파워, 메뉴얼, 케이블 타이, 고정 나사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타 사 파워들에 비해서는 상당히 구성이 좋은 것을 알 수 있습니다.

파워에 포함된 메뉴얼 입니다. 단순히 스펙만 명시한 것이 아니라 각 커넥터에 대한 설명, 설치 및 라인에 관한 설명이 자세히 나와 있습니다.

태왕 파워의 전체적인 모습입니다.

120MM 팬의 모습입니다. 팬 그릴이 있어 외부의 간섭을 막아주고 중앙에는 AONE의 회사 로고를 붙여 디자인에 신경을 많이 쓴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선이 나오는 구멍의 모습입니다. 선의 손상을 막기 위해 플라스틱 캡을 사용했고 분해시에는 보증을 받을수 없도록 스티커를 붙여 놓은 모습입니다.

전원 입력부 및 배기구의 모습입니다. 120MM 팬에서 나온 바람을 배출하기 위해 촘촘하게 벌집 모양으로 타공을 해 놓은 모습입니다. 그밖에 전원 스위치 전원 커넥터가 있고, 전압 변환 스위기가 있는 것을 확익 할수 있습니다. 국내에서는 쓸일이 없겠지만 굳이 해외에서도 사용하거나 특수한 경우에는 도움이 될 것 같습니다. ^^;

측면부에는 다른 파워와 마찬가지로 스펙이 명시되어 있습니다. 스펙을 보면 ATX 규격에 부합되는 사항들을 확인할수 있습니다.하지만 제품의 용량과 가격을 생각해 보면 타사 제품에 비해 특이한 점이라고는 볼 수 없겠습니다만 12V의 최대 전류값만 표기해 놓은 것은 아쉬운 점입니다. 그 밖에 주의 사항 및 고객지원에 대한 정보가 있습니다.

파워의 내부 모습입니다. 방열판의 경우, 120MM 팬에서 나오는 바람을 효율적으로 받을수 있도록 되어 있습니다. EMI 필터등 기본적인 파워의 부품들을 볼 수 있습니다. 500w 제품이 열이 많이 나는 만큼, 하위 기종보다 좀 더 효율적으로 만들어진 모습입니다.

120MM 팬의 모습입니다. 팬 안쪽에도 스티커가 붙어 있어 세부적인 스펙에 관해서는 확인할수 없지만, 실제 작동시 다른 120MM 팬과의 차이점은 없는 것 같았습니다.

콘덴서의 모습입니다. 1200UF 의 콘덴서 2개를 부착해 놓은 모습입니다. 효율을 위한 별다른 기능은 없기 때문에 대용량의 콘덴서를 사용한 모습입니다.

파워 케이스에 접지 단자가 부착되어 바로 전원 콘센트의 접지 부분에 맞물려 있으며, 방열판옆에는 팬컨트롤러가 부착되어 있어, 상태에 따라 유동적으로 소음을 관리 할 수 있습니다.

과전류에 대한 보호를 위해 퓨즈가 있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평상시에는 별다른 일이 없겠지만, 쇼트 같은 불상사가 난다면 파워뿐만 아니라 다른 하드웨어도 고장이 이어지기 때문에 상당히 중요한 부분이죠.

20+4 핀 커넥터의 모습입니다. 실딩 처리가 되어 있으며, +4핀 커넥터에는 메인보드 보조 전원으로 사용시에 대한 경고 문구가 붙어 있습니다. 아마 저 경고대로 될 가능성은 전무 하겠지만 세심한 배려를 해 주는 것 같습니다.

태왕 파워에는 SATA 커넥터 4개 , 4핀 커넥터 4개 , FDD 커넥터 1개 로 구성되어 있어, 다나와 같은 가격 비교 사이트에 나온 정보와 동일하네요.

장착후의 모습입니다. 미들 타워 케이스에 적당한 선 길이를 가지고 있어, 장착시에 별다른 문제는 발생하지 않습니다.


테스트 사양

PC 1
PC 2
CPU
INTEL E2140 1.6 @ 2.8
AMD VENICE 3000+
M/B
유니텍 P35 다크호스
ECS RS480-M
RAM
ST2 PC6400 2G 2EA
디지웍스 512MB 2EA
VGA
VIVA RADEON 800XL
(ATi) Xpress 200
HDD

WD RAPTOR 36GB
SEAGATE 160GB * 2EA

SEAGATE 120GB
ODD
삼성 DVD-Multi SH-S203P
삼성 CD-RW
FAN(12v)

80MM * 2EA
1200MM * 1EA
250MM * 1EA

40MM * 2EA
80MM * 1EA

테스트의 경우, 기존에는 멀티 테스터기를 이용하여 전압을 측정하는 것도 계획하였지만.. 갑작스러운 테스터기의 고장으로 인해 테스트 피씨를 하나에서 둘로 늘려 사양별 전압 변동폭에 중점을 두고 진행하였습니다. 그리고 해당 풀로드시 부하는 3dmark05를 이용하였습니다.


PC 1 (메인보드 설정치 Vcore 1.325v vdimm 1.9v)


PC 2

각 피씨의 모니터링된 IDLE 시의 전압값입니다. 테스터기가 아닌 메인보드에 의해 측정되는 값이기 때문에 정확한 값이 아닌 단순 비교를 위해 기재하였습니다.

모든 값이 ATX 규격을 만족시키고 있는 것을 확인할수 있습니다. 12 볼트의 경우 각 피씨의 오차가 크기 때문에 제회한다면, 모든 값이 정전압에 근접하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PC_1 CPU

PC_2 CPU


PC_1 5v

PC_2 5v


PC1 12v

PC2 12v

pc1,2 의 풀로드시의 모니터링된 전압입니다. 두 피씨 모두 변압 변동폭은 그다지 크지않은 것을 확인할수 있습니다. 코어 전압은 첫번째 피씨의 경우 0.01V, 두번째의 경우 0.03볼트 내에서 전압 변동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오버클럭을 한 상태임을 고려하면 상당히 좋은 결과를 보여주고 있습니다.

5V의 경우에도 부하가 좀 더 적은 두번째 피씨의 전압 변동이 적고 안정적이지만. 첫번째의 경우 아무래도 부하가 더 걸린 쪽에서 좀 더 큰 폭의 변동율이 보일수 밖에 없기 때문에 약간 변동폭이 있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하지만 급작스런 전압 강하 현상이 없는 것과 0.1V 의 전압 변동율만 보여주고 있어 대체적으로 안정적인 것을 확인할수 있습니다.

12v 의 경우는 5v보다는 좀더 안정적인 모습을 볼수 있습니다. 그래프를 보면 3d mark에서 로딩되는 시간 같이 하드의 사용이 심할때 변동폭이 있는 것으로 보이며 두 피씨모두 0.1v 의 변동율만 보이고 있어 안정적으로 전압을 공급하는 것을 확인할수 있습니다.




지금까지 AONE 태왕 파워를 테스트를 해 봤습니다.

태왕 500w 파워는 분명 중 고급형 파워에 비한다면 가격이 터무니 없이 저렴하겠지만, 전압 변동율과 테스트시 경험한 소음을 생각하면, 보급형 고용량 파워로서 손색이 없는 제품이라고 볼 수 있겠습니다. 기타 파워의 구성물이나 메뉴얼은 타사 제품보다 노력을 기울여 만든것이 느껴지며, 커넥터의 수와 종류도 현재 보통 수준의 사용자에게 필요한 요구를 충족해 줄수 있을 것이라고 봅니다. 물론 컴바인드 출력의 미표기와 PFC 같은 것들은 중 고급형 파워 비해서는 아쉬운 점이지만, 그래픽 카드를 2개 이상 구성하지 않는다면, 단일 그래픽 카드 정도의 부하는 무난하게 견딜 것 같습니다.

일반적으로 업그레이드나 컴퓨터를 살때 특별한 경우가 아니라면 파워에 많은 돈을 투자하는 것은 쉽지 않은 선택일 겁니다. 이러한 중에 3만원대의 저렴한 가격대에 고용량의 파워인 AONE 태왕 500W Dual v2.2 는 가격대 성능비가 좋은 제품을 찾는 사람에게는 최고의 상품이 될 것 같습니다.


반응형

관련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