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Seasonic SS-400ET 지엠씨 시소닉 gmc

컴퓨터/Hardware Review

by rockcd 2008. 7. 20. 12:08

본문

반응형



현재 판매중인 파워들을 살펴보면, 보급형과 고급형이 주류를 이룬가운데 만족스러운 중급형 제품은 찾아보기 힘든 상황입니다. 이러한 중급형 파워 가운데, 지금까지 고급형 파워를 출시해 오던 시소닉에서 지난해 출시한 액티브 PFC가 적용된 파워인 SS-400ET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박스의 모습입니다. 박스에는 제품의 사진과 더불어 특징적인 것에 대해 표기되어 있습니다. 이 밖에도 3년 보증이나 80% 효율 같은 중요 특징이 표기되어 있었습니다.


측면에는 각종 인증과 더불어 제품에 스펙이 표기되어 있습니다.


박스의 내부입니다. 발포비늘을 이용하여 파워를 보호하고 있으며 간단한 설명이 들어 있는 제품 설명서 한부와 ac 파워 케이블, 나사4개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기본적인 파워이 구성이라 볼수 있겠습니다.


파워의 전체적인 모습니다. 최근에 나오는 시소닉을 보면 볼품없어 보일지도 모르겠지만, 저는 과거의 시소닉 제품 모습이 생각나는군요. 굳이 말하자면 파워의 레퍼런스 같은 모양이네요. ^^;


측면 배기구의 모습입니다. 벌집모양으로 되어 있어 배기에 최적화 되어 있으며, 220v 전용으로 나온 모습입니다. 기타 스위치와 전원 커넥터가 보입니다.


측면부의 케이블이 나오는 곳입니다. 최근 파워를 보면 별도의 플라스틱이 철판주위를 보호하고 있는 모습이 많은데, 시소닉 파워의 경우, 철판을 라운딩 처리하여 케이블의 손상을 막아주고 있습니다.


제품의 스펙이 붙어 있는 부분입니다. 시리얼 넘버와 각종 인증이 표기되어 있으며, atx 2.2 스펙을 준수하고 있음을 알수 있습니다. 12v 출력을 보면 웬만한 3~4만원대 중급형 400w 파워보다 40w 정도 높은 스펙입니다.


|

시소닉 파워에서 지원하는 커넥터들의 모습니다. 24핀 케이블의 경우 쉴딩 처리되어 있으며, 4핀/8핀 메인보드 보조 전원 케이블을 제공하여, 최근 나오는 8핀 지원 메인보드들에도 문제없이 안정적으로 전원을 공급할수 있도록 되어 있습니다. 그리고, 4핀 커넥터와 sata 커넥터의 경우 각각 4개씩 제공되어 하드나 기타 하드웨어 확장시에도 부족함 없이 사용할수 있을 것 같네요.


파워의 전체적인 내부 모습입니다. 방열판의 경우 맞닿는 면이 120mm팬과의 효율적인 쿨링을 위해 파워 내부의 부품의 쿨링에도 도움이 되는 구조로 되어 있으며, 각종 부품이 자리 잡고 있습니다.


시소닉 답게 aDDa 팬을 사용한 모습입니다. 아다사의 홈페이지에서 모델명을 검색해 보면 일반 저소음 팬 으로 나와 있네요. 그리고 제품 부품이 변경된 모양인지.. 초기 모델과는 다르게 현재는 볼베어링 팬에서 슬리브 베어링 팬으로 변경된 것 같습니다.


EMI 필터와 인덕터가 보입니다.


퓨즈입니다. 과전류가 흐르게 되면 자동으로 쇼트되어 시스템을 보호해 줍니다. 220v 입력 전압쪽에서는 웬만해서 과전류가 흐를 일이 없겠지만. 만의 하나의 상황에 대비한 모습입니다..


액티브 PFC와 인덕터가 보입니다. 일단 국내에서는 유효 전력만 계산하기 때문에 효율이 좋아도 전기 요금에는 큰 차이는 없을 수도 있겠지만, 효율이 나쁘면 시스템에 동일한 전력이 필요할때, 파워에 좀 더 부하가 많이 걸리고, 더불어 열도 많이 나게 되니, 결과적으로 효율 좋은 파워가 좋죠.

또한 액티브 pfc를 채용한 파워 답게 콘덴서는 200v 470uF를 하나를 사용한 모습입니다. 별다른 pfc가 없는 파워의 경우, 용량에 비례하여 용량높은 콘덴서를 2개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죠.



설치 전후의 모습입니다. 미들 타워 케이스에 충분할 만큼의 선길이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별도의 타이나 선에 처리가 안되어 있기 때문에 정리가 어려울 수 있으나 비어있는 드라이브 베이를 이용하여 무리없이 정리가 가능했습니다.



PC 1
PC 2
CPU
INTEL E2140 1.6 @ 2.8
AMD VENICE 3000+
M/B
유니텍 P35 다크호스
ECS RS480-M
RAM
ST2 PC6400 2G 2EA
디지웍스 512MB 2EA
VGA
VIVA RADEON 800XL
(ATi) Xpress 200
HDD

WD RAPTOR 36GB
SEAGATE 160GB * 2EA

SEAGATE 120GB
ODD
삼성 DVD-Multi SH-S203P
삼성 CD-RW
FAN(12v)

80MM * 2EA
1200MM * 1EA
250MM * 1EA

40MM * 2EA
80MM * 1EA
비교 파워 : AONE 태왕 500w

테스트의 경우, 총 2대의 피씨를 이용하여 진행하였으며, 사양은 위와 같습니다. 전압 변동율의 경우 3d mark 05를 이용하여, 일반적인 사용환경에서의 부하를 측정하였습니다.



PC1 Monitoring

PC2 CMOS

시소닉 파워의 모니터링되고 있는 전압입니다. 첫번째 모니터링 프로그램상에서는 12볼트가 규정을 넘지 않았지만 높게 측정되고 있는 모습입니다. 하지만 모니터링 프로그램에서의 값인 만큼 어느정도 오차가 있을 거라 생각되네요. 그 밖에 전압에서는 거의 정확한 전압을 출력하고 있는 것을 확인할수 있었습니다.

PC1


PC2

시피유 전압의 모습입니다. 첫번째 피씨에서는 0.01볼트안에서 변동되고 있으며, 두번째의 경우에도 큰폭의 변동없이 안정적으로 작동되었습니다.


PC1

PC2


5볼트에서는 첫번째의 경우 0.1v 정도의 변동율을 보이고 있으며, 두번째 피씨의 값이 변동이 거의 없고 상당히 안정적인 모습입니다. 아무래도 부하가 적게 걸리는 만큼 더 좋은 모습을 보여주었습니다.


PC1 시소닉 SS-400ET

PC1 태왕 500w

PC2 시소닉 SS-400ET

PC1 태왕 500w



12볼트의 경우 비교 대상인 태왕 파워와 같이 올려봤습니다. 두개의 파워 모두 변동폭은 비슷하게 무난한 모습을 보여 주고 있지만, 시소닉 쪽이 좀더 변동이 적은 모습이네요.


--------------------------------------------------------------------------------------------------



● 액티브 PFC

● 스펙대비 적당한 가격대

● 안정적인 전압 파형

● 충분한 4핀 sata 커넥터
● 믿을수 있는 3년간의 무상 보증



SS-400ET는 시소닉에서 보급형으로 나왔지만 SS-400ET는 시소닉의 명성을 그대로 이어받은 보급형 제품같습니다. 기타 구성품이나 외부 디자인에 있어서는 부족할지 모르나 파워 자체의 성능이나 스펙에서는 전혀 부족한 것을 느낄수가 없었습니다. 위에 나열한 장점 중에 가장 중요한 것은 믿을수 있는 스펙과 사후지원이라고 생각됩니다. 여러 중급파워 제품의 스펙을 비교해 전혀 비싸지 않은 가격대 인 만큼 GMC 의 3년간의 믿을수 있는 사후지원은 상당한 장점이라고 생각되네요.

소음도 적고, 고효율에 이정도 스펙을 가진 파워는 비싸다고도 볼수 없겠네요. 어중간한 보급형 고용량 제품을 구입하기 보다는 신뢰가 가는 시소닉 SS-400ET 파워를 구입하는 것도 상당히 메리트가 있다고 여겨집니다.

좀 더 안정적이고 가격대 성능비 좋은 파워를 구입하고자 하는 분에게 적합한 제품같습니다.



반응형

관련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