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AONE 태왕 TFX-350GW Dual V2.2

컴퓨터/Hardware Review

by rockcd 2008. 7. 20. 12:06

본문

반응형

벤치 클럽과 AONE에서 주관한 필드테스트입니다.

 

 

AONE 태왕 TFX-350GW Dual V2.2

 

작성자 오승태 rockcd@gmail.com

 

시중에 일반 ATX 파워는 많지만 TFX 규격의 파워는 사실 그다지 없는 편인데, 이번에 AONE에서 태왕브랜드를 내고 새롭게 출시를 했습니다.

 


*다나와에 등록된 스펙

 

사양을 살펴보면 세부적인 것까지는 없어서 모르겠지만, 최대 출력 전류를 보면 일반적인 ATX 350w와 비슷한 출력을 가질거라 생각됩니다. TFX 파워를 사용하는 케이스에서는 충분히 사용할수 있는 수의 커넥터가 제공되네요.

 

 

 

 

 

태왕브랜드로 나온만큼 포장까지 되어 나온 모습입니다. 박스 자체에 많은 정보는 없고, 모델명 정도를 알 수 있네요.

 

 

 

 

 

제품의 포장 상태입니다. 발포비닐과 종이 박스가 적절히 완충작용을 하는 구조입니다. 일반적인 포장 상태로 보셔도 될것 같습니다.

 

 

 

 

파워를 제외한 구성물입니다. 선 정리를 위한 케이블타이와 나사, 전원 코드가 들어 있었습니다. aone은 케이블 타이 꼭 넣어주더군요.

 

 

 

 

제품의 전체적인 외형입니다. 전체를 검정색으로 도색하여 상당히 깔끔한 모습을 하고 있습니다. 스펙이 써 있는 스티커도 파워의 디자인과 잘 어울리는 듯 보이네요. 구조 자체는 일반적인 TFX 규격 파워와 동일하고, 80mm 팬을 사용하여 쿨링을 하는 구조입니다.

 

 

 

 

배기구의 경우, 일반적인 파워와 비슷한 외형입니다. TFX 구조상 배기구가 넓지 않아 일반 파워보다 쿨링에는 그다지 좋을 것 같지 않네요.

 

 

 

 

일반 ATX 파워와 크기를 비교한 모습입니다. 1/3 정도의 크기를 가지고, 일반 파워보다 약간 길이가 깁니다.

 

 

 

 

측면부에는 파워의 분해 여부를 위한 스티커가 붙어 있습니다.

 

 

 

 

파워에서 커넥터 선이 나오는 부분입니다. 케이블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해 플라스틱 캡을 고정시켜 놓았네요.

 

 

 

 

파워의 내부 모습입니다. 부품의 위치만 조금 다를 뿐이지, 일반적인 파워와 부품에 있어서는 큰 차이점은 없어 보이네요. 양쪽에 쇼트를 방지하기 위한 플라스틱 가림막이 있네요.

 

 

 

PFC 가 없는 만큼, 커패시터 2개를 사용한 모습입니다. 일반적인 350 W 파워처럼 560uF 커패시터를 사용한 모습입니다.

 

 

 

 

파워 케이스에는 접지를 위한 선이 고정되어 있는 모습입니다. 집의 콘센트가 접지가 되어 있다면 미세전류나 기타 문제에 대해 효과를 볼것이라고 생각됩니다.

 

 

 

 

트랜스포머입니다. TFX라고 적혀 있는 것을 보니, 대충 내부 모델 정도로 보이네요..

 

 

 

 

팬 컨트롤러 부분입니다. 바로 옆에 출력부도 있지만, 부품들이 빼곡하게 들어차 있어서, 보이지도 않네요.. ^^;

 

 

 



CPU
AMD 베니스 3200+
MEMORY
디지웍스 DDR 3200 512MB* 2ea
VGA
라데온 X800 XL
HDD
Seagate 7200.7 160GB
Seagate 7200.7 120GB
ODD
삼성 DVD-Multi 삼성 SR-T03B
CASE
ALUTEK JUNIOR A-60 블랙

 

 

 

제품이 350W 이고 TFX 파워인 만큼, 슬림케이스에서 사용될수 있는 하드웨어로 모두 사용한 상태에서 테스트하였습니다. 시피유가 구형이지만 현재 사용되는 시피유와 전력소모는 비슷할거라 생각됩니다. 테스트의 경우, 메인보드 모니터링 전압과 멀티테스터를 통해 5v, 12v 전압을 측정하였습니다.

 

 

 

 

 

 

메인보드 모니터링 프로그램상의 전압입니다. 대부분의 전압이 규정과 거의 일치한 모습입니다. 12v가 높게 나오지만, 실제로 측정하면 정상적으로 나오고, 모니터링에 오차가 있을 수도 있으니까요.

 

 

 

 

idle

 

 

 

full load

 

 

 

아이들시와 풀로드시 12V,5V 모두 규정된 전압 범위내있는 모습입니다. 풀로드시 12V 가 0.09v 만큼 전압이 강하되었으며,

5v,12v 모두 풀로드시에는 0.01V 범위내에서 변동이 되는 모습을 보여 주었습니다.

 

 

 

 

full load

 

풀로시 메인보드 모니터링 결과입니다. 멀티테스터로 측정한것과 같이, 부하가 걸리는 상황에 딸 따라 변동이 있는 모습입니다. 12v 가 0.1v 정도 범위에서 변동이 있지만, 변동된 모습을 보면, 이 정도는 상당히 안정된 모습이라 생각되네요. 5v 도 0.1v 내에서 변동을 하는 모습입니다. 대체적으로 테스터기와 비슷한 결과값을 보여주네요.

 

소음은 제가 TFX 파워를 타사 제품까지 써본것이 아니라서 확실히 이 제품이 조용하다, 시끄럽다. 이런식으로는 말씀을 못드리겠고, 전문 측정기기나 rpm을 측정할수 없으니 느낌만 말씀드리자면, 완전 저소음까지는 아니라고 생각되네요.

일반적인 상태에서는 대충 80mm 팬이 중간 속도로 돌고 있다고 여겨집니다. 그 밖에 파워에서 고주파음이나 기타 소음이 되는 것들은 들리지 않았습니다. TFX 구조상 파워의 길쭉한 모양자체는 케이스내에 배치하기에는 좋은데 배기구와 팬 사이의 공간이 길어 다른 파워 규격보다는 쿨링에는 그다지 효율적이라고 생각되지는 않네요. 일반 저소음 120mm 파워 사용자라면 소음을 느낄거라 생각됩니다.

 

결론을 정리하자면, 현재 시중에 TFX 파워는 많은 편도 아니고, 해외 유명 브랜드 제품의 경우, 가격이 있는편이죠.. 그런 중, 인지도가 있는 회사에서 적당한 가격의 고용량 제품을 출시한 점은 반길만 하고, 그에 맞는 성능도 보여주는 만큼, 파워로서의 역할은 충실히 해 줄것 같네요.

여담이지만 가격이 싸다고 저가형 파워 사용하는 것보다는 어느정도 인지도 있는 회사의 제품을 사용하는것이 좋겠죠. 특히나 슬림 케이스는 저가형 파워도 포함시켜 파는 경우가 많으니까, 이런 경우, 적당한 가격대의 태왕 파워와 케이스를 구입하는 것도 좋을 거라 생각합니다.

 

반응형

관련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