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디코리아 곰 TV 리모콘 II 사용기 작성자 : 오승태 rockcd@gmail.com 최근에 또다시 애니와 영화가 저의 구미를 당기기 시작하면서, 어쩌다가 게임을 하는 저에게 누워서 컴퓨터 영상을 제어할 필요성이 생기게 되었습니다. 이러던 차에, 이리저리 알아보니, 선택의 폭이 별로 없더군요. 무선 키보드와 마우스를 구입하기에는 가격이 너무 비싸고, 기껏해야 용도가 동영상 출력정도인데, 아이몬하고 고민하다가 한번 도전 정신으로 구입하였습니다. 곰플레이어에 특화되어 좀 더 세부적인 기능을 편리하게 이용할수 있다는 것도 한몫했구요. 제품 박스입니다.. 약간 부피가 있는 전공 서적정도의 크기입니다.. 리모콘이니까.. 클필요는 없겠죠. 제품 포장 상태 및 구성물입니다. 리모콘, 수신부, 접착테이프, 메뉴얼, 드라이버 시디, 건전지가 동봉되어 있습니다. 메뉴얼의 경우, 해당 리모콘으로 곰 TV를 손쉽게 볼수 있다는 것 정도만 있었습니다.. 세부적인 설명에 대한 아쉬움이 남네요.. 리모콘의 이용 방안에 대해서는 아이디 코리아의 제품 설명란이 더 자세하게 나와 있으니 홈페이지를 참고하시는 것이 좋을 것 같습니다. 리모콘입니다. 일반 리모콘과 비슷합니다. ^^;; 기본 제공되는 도시바 건전지를 장착한 모습입니다. 가볍고 깔끔한 디자인 이었습니다. 각 종 버튼에 관련된 것들은.. 제품 정보 보면 잘 나와 있을 겁니다. 리모콘 수신부입니다. USB 선의 길이가 약 1.5m 정도이기 때문에, TV 와 본체간의 거리가 멀다면, 연장선의 구입도 고려해야 할것 같습니다. 수신부도 리모콘과 비슷한 디자인을 취하고 있네요. 리모콘 수신부를 컴퓨터 근처에 장착한 모습입니다.. 양면 테이프가 기본 제공되는 이유를 알겠더군요.. 수신부가 너무 가벼워서.. 그냥은 고정이 안되고,(느낌을 말하자면 덜렁덜렁거린다고 말할수 있겠네요..) USB 선을 스피커 아래에 깔아서 스피커 무게로 고정을 시켰습니다. 테이프는 나중에 뒷처리가 생길수도 있기때문에, 대충 고정했습니다. ^^;; 드라이버 시디를 실행하면, 위와 같이 오토런이 실행되고 리모콘 관련 프로그램인 곰 트레이와 곰 플레이어 등을 설치할수 있습니다. (곰 트레이만 설치하고, 곰플레이어 프로그램이 구 버전이라, 그냥 홈페이지가서 최신버전 받는 것이 좋습니다.. ) 곰 트레이를 설치하면 위와 같이 트레이에 자동 실행이되고.. 몇가지 설정이 가능한 환경설정 메뉴가 있습니다. 곰플레이어외에 kmp 등의 프로그램을 기본 설정으로 할수 있도록 되어 있습니다.. 대충 동영상 플레이어 마다, 설정을 저장한것 같은데.. 차라리 유저가 직접 키설정을 할 수 있게 했다면 더 좋았을 것 같네요.. 설정에 자유도가 떨어지는 것 같습니다. 실제 기능 사용시 장점 및 문제점 곰플레이어를 사용함에 있어서는 정말 편리합니다. 일단 위와 같이 파일 오픈시에 간단하게 창이 뜨고 리모콘으로 쉽게 조작이 가능하게 하는 메뉴가 있어, 멀티미디어 파일 및 곰 Tv에 관련된 기능을 사용하기가 편리합니다. 위의 스크린샷이 해당 기능인데요, 사실 이 기능을 이용하여 미디어를 로딩하는 것이 가장 편리한 방법이며, 다른 방법은 리모콘의 마우스 기능을 이용하는 건데요.. 이건 상당히 불편할수 밖에 없어서, 그다지 추천하고 싶지 않네요. 리모콘의 마우스 기능이 정말 컴퓨터 앞으로 다가가기 싫을 때나 쓰는 방법일듯 합니다.. 마우스 커서 이동 속도도 좀 느리구요. 4방향이라 움직이기가 좀 번거롭죠. 여하튼 리모콘으로 곰플레이어 설정을 통해 단축키 설정도 가능하기 때문에, 리모콘에서 기본제공되는 기능뿐만 아니라 설정을 통해 사용자가 추가로 버튼을 다른 용도로 이용이 가능해, 같은 미디어를 재생하고 보는 데에 있어서, 곰플레이어 전용 리모콘으로 활용하기에는 손색은 없을 것 같습니다. 굳이 문제점이라면 다른 미디어 플레이어 프로그램 들과 버튼 설정이 맞지 않는 부분들이 있습니다. 위의 곰플레이어의 파일 열기 기능처럼 곰트레이의 환경 설정을 통해 지원하는 프로그램에서도 이와 같은 기능을 제공하는데, 기타 플레이를 제외한 부가적인 버튼들의 경우(캡쳐 버튼이라든지, 기타 옵션 버튼들..), 의도와 다른 작동을 하더군요 . 그래도 엔터, ESC, 볼륨같은 기본적인 것들은 동일하게 작동하고, 숫자 버튼(키보드의 숫자키와 동일 기능)을 이용해 제가 사용하는 TV 카드의 프로그램의 채널을 변경할수 있어, 이러한 특징을 사용자가 어떻게 이용하나가 중요할듯 싶습니다. 위의 문제점과 같이 타 프로그램에서 해당 리모콘의 활용도가 떨어지는 점이기도 한데, 즉 곰 플레이어와 기타 몇몇의 동영상 플레이어에만 특화되어 있다는 점입니다. 곰 트레이의 환경설정에 단축키 설정 같은 것을 몇개 넣어서, 다른 프로그램을 바로 실행시킬수 있다던지, 단축키와 연동되어, 키설정같은것이 같이 바뀔수 있다던지.. 같은.. 사용자가 직접적으로 제어 할 수 있는 부분이 적다는 점이 아쉽네요. 하지만 다른 관점으로 보면.. 기능과 버튼이 많다고 해서 모든 사람에게 좋다고 볼수도 없으니까요.. 동영상 출력을 주로 행하는 HTPC 용으로만 사용한다고 치면, 곰TV의 컨텐츠와 더불어, 간단하게 조작이 가능한 곰 리모콘이 확실히 장점이 될 겁니다. 이러한 점이 특정 프로그램에 특화된 제품만의 장점이겠죠. 결론을 내리자면, 곰플레이어 및 곰 프로그램 시리즈를 이용하기에는 편리한 것은 확실합니다. HTPC 구성시에 무선 키보드/마우스 같은 고가의 입력 장치 대신 각 사용자의 활용에 맞춰 나름 저렴한 가격으로 효율적으로 제어가 가능한 HTPC를 구성할때 적합한것 같습니다. 동영상외에 부가적으로 다른 프로그램에 대한 이용을 리모콘으로 편리하게 이용하고 싶은 사람에게는 부족하게 느껴질수 있기 때문에, 이 점은 좀 알고 구입해야 할것 같습니다. (참고로 제가 다른 리모콘을 몇개 이용해 봤기 때문에 이런 결론이 나온 것일수도 있습니다.) 아.. 마지막으로 그 밖에 문제로는 전원 On/off 에 관련된 것인데요. 전원 Off 는 소프트웨어 적으로 작동하기 때문에 문제가 없는데.. 전원을 키는 것은 해당 리모콘이 키보드로 인식되는 것으로 봐서는 메인보드 cmos에서 usb 키보드로 전원 키는 것이 가능하면 될 듯 보이네요.. 뭐 .. 예전.. 구형 메인보드에서는 키보드로 전원을 켜 봤는데.. 제가 지금 사용하는 메인보드는 따로 지원하지는 않네요. 그리고 현재 ( 08.05.23 ) 곰 티브 간편열기가 안되고 있습니다.. 참.. ㅡㅡ;; 생각보다 길게 보수를 하네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