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4' SOUND BLASTER COMPARISON CHART |
a |
사운드블라스터 Live! DE5.1 Lite |
사운드블라스터 Live! 24-Bit 7.1 |
사운드블라스터 Audigy 2 2005 |
사운드블라스터 Audigy 2 ZS |
오디오 퀄리티 |
신호대잡음비 |
91dB |
100dB |
106dB |
108dB |
비트/샘플링 레이트 |
16Bit/48kHz |
24Bit/96kHz |
24Bit/192kHz DVD-Audio |
24Bit/192kHz DVD-Audio |
DAC |
16Bit/48kHz |
24Bit/96kHz |
24Bit/192kHz |
24Bit/192kHz |
게임 사운드 |
EAX 2.0 |
V |
V |
V |
V |
EAX 3.0 |
- |
V |
V |
V |
EAX 4.0 |
- |
- |
V |
V* |
3D 하드웨어 보이스 |
64 |
64 |
64 |
64 |
3D 포지셔닝 오디오 |
5.1 |
7.1 |
음악 감상 |
DVD-AUDIO |
- |
- |
V |
V |
EAX ADVANCED HD 이펙트 |
- |
V |
V |
V |
CMSS 업믹스 |
CMSS |
CMSS 3D |
CMSS 3D 2.0 |
CMSS 2.0 |
다채널 그래픽 이퀄라이져 |
- |
V |
V |
V |
윈도우 미디어 9 24/96 5.1 컨텐츠 |
- |
V |
V |
V |
DTS 음악 컨텐츠 |
- |
- |
- |
V |
Dolby Digital 음악 컨텐츠 |
- |
- |
V |
V |
영화 감상 |
THX 인증 |
- |
- |
- |
V |
THX Setup Console |
- |
- |
- |
V |
Dolby Digital 디코딩 |
- |
- |
V |
V |
Dolby Digital EX 디코딩 |
- |
- |
V |
V |
Dolby Digital EX 7.1 디코딩 |
- |
- |
V |
V |
DTS-ES 디코딩 |
- |
- |
- |
V |
DTS-Neo:6 |
- |
- |
- |
V |
CMSS 3D |
- |
V |
V |
V |
확장 옵션 |
OPTICAL I/O (SB0001) |
- |
- |
- |
V |
DIGITAL I/O Module (SB0002) |
- |
V |
V |
- |
위의 표는 사블 시리즈의 사양을 비교해 놓은 표입니다.(SB Live 24BIT 7.1 의 스펙도 포함된 표이기에 별도로 스펙을 올리지는 않겠습니다.) 간단히 말해, 지금은 국내에서 판매처를 찾아 볼수 없는, 오디지 와 비슷한 사양을 가지고 있는 것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가격적으로 봤을때도, 기존의 오디지의 공백을 위한 포석이라고 생각이 됩니다. 오디지 2와 비교시 DVD-AUDIO, 디코딩 지원이 떨어지는 것으로 볼 수 있겠지만, 일반 사용자에게는 큰 문제가 없을 것이라고 생각되는 부분이기도 합니다.
▶ 박스 및 구성물
사블의 박스 전면부입니다. 박스는 기존 사블 시리즈와 비슷한 외형을 가지고 있으며, 제품의 가장 큰 특징인 7.1 채널 지원 , 24-bit advanced HD, EAX 기술 지원을 표기하고 있습니다. 박스의 크기는 기존 사블 시리즈에 비해 상당히 작은 편입니다. 기존 사블의 경우, 구성물에 비해 박스가 너무 큰 감이 있었는데, 이번 신제품은 LP 형이고, 내용이 간소한 만큼, 상당히 적당한 사이즈의 박스를 사용하고 있습니다.
후면부에도 마찬가지로, 제품의 가장 큰 특징 3가지과 몇가지의 제품의 특징이 언급되어 있습니다.
내부 구성물의 경우, 위의 사진과 같이, 내부에 또 다른 박스가 있으며, 그 박스는 완충제를 사용하여 구성물을 보호하고 있었습니다.
제품은 사운드 카드, 드라이버 시디, 퀵가이드(영문) 및 제품 설명서(한글), 스티커, 아날로그 CD 오디오 케이블, LP 브라켓 으로 일반적인 용도에 맞춰 상당히 간소한 구성으로 되어 있습니다.
우선, 사블에는 퀵 가이드와 설명서가 제공되는데, 퀵가이드의 경우, 영문 - 제품 설명서의 경우, 한글로 되어 있습니다. 내용상 동일한 내용을 담고 있지만, 한글 설명서 쪽이 좀 더 다양하고 구체적으로 설명되어 있어, 상당히 사용자에 대한 배려가 충실하다고 보여 집니다.
이제 사운드 카드를 간단하게 살펴 보도록 하겠습니다.
▶ 카드 살펴 보기
사운드 카드를 하위 버전으로 볼수 있는 사블 Live!(5.1채널 아닙니다. ^^;)와 비교 해 봤습니다. 최근 추세상 거의 사용하지 않는 게임포트를 제거하고, 대부분의 사용자에게 필요한 사운드 출력 및 마이크 단자만 구성되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사운드 카드의 코어에는 CA0106-DAT로 표기되어 있으며, 이는 오디지와 동일한 것을 사용한다는 것을 뜻한다고 합니다. IEEE 1394 지원 같은 것을 제외하고 제품 스펙이 오디지와 비슷하다는 것을 볼때, 별로 의심할 여지는 없는 듯 합니다.
내부 커넥터로는 AUX-IN 과 정체 불명의 흰색의 크리에이티브 전용 커넥터가 존재하는데, 대충 AUX-IN의 경우, 현재로서는 시디롬에서 오디오를 디지털로 입력받을 수 있기 때문에, TV 카드 같은 기기와 연결하기 위해 존재하는 듯 합니다. 그리고, 흰색 커넥터의 경우, 설명서에는 완제품 PC 에 사용되는 커넥터로 명시되어 있었던 것으로 보아, 일반 사용자에게 해당 장치가 제공될지는 미지수 입니다.
출력부는 하나의 입력 단자(디지털출력/라인입력/마이크 입력)와 3개의 출력 단자를 제공합니다. 디지털 입출력을 원하는 사람의 경우, 별도로 판매되는 DIGITAL I/O Module (SB0002)를 구입하여, 마이크 단자에 연결하여 사용하도록 되어 있습니다. 이때 디지털 모듈 사용시, 외부 입력을 받을 수가 없다 라고, 설명서에 언급되어 있으니, 구입하시는 분들은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그래픽 카드 후면에는 위와 같이 나사로 고정되어 있어, 슬림형 피씨 사용자라면, 간단하게 드라이버로 나사를 풀고, LP 형 브라켓을 연결하시면 됩니다.
▶ 드라이버 설치
맨 처음 드라이버 시디를 실행하게 되면, 위와 같이 국가 설정 및 설치 프로그램을 선택할 수 있는 메뉴가 나오고, 간단하게 드라이버 설치와 제공 소프트웨어인 미디어소스의 추가 설치를 할 것인지를 묻는 화면이 나옵니다. 설정을 완료하면, 프로그램이 설치 됩니다.
설치를 완료 후에는 장치관리자에 위와 같이 사운드블래스터 Live 24BIT 7.1로 표기되어 있는 장치를 확인 할 수 있고, 언제나의 사블 시리즈와 마찬가지고 고객 등록 창이 뜹니다. ^^;
▶ 성능 테스트
C P U |
AMD 64 2800+ |
R A M |
Samsung PC3200 256MB * 2 |
Main Board |
Abit AI7 |
H D D |
WD S-ATA36G 10000rpm Raptor * 2 (Raid 0)
|
O D D |
삼성 TS-H552B/KRAD |
Power Supply |
SevenTeam ST-350BKV (350W) |
OS & API |
Windows XP Professional + SP1, DirectX 9.0a |
VGA |
Power Color Radeon 9800 se @ 9800 |
위와 같은 사양으로 성능 테스트를 하였으며, 스피커의 경우 : 현대JPC의 5.1 채널 헤드폰인 JPC-168HT 와 2.1 채널 스피커인 브리츠 BR 707를 사용 후, 주관적인 느낌을 말할려고 합니다.
기존에 사용하고 있던 게인워드의 7.1 채널 사운드 카드와 비교를 해 보겠습니다.
.
DVD Movie
현재 소장중인, 반지의 제왕 DVD를 로 플레이 해 봤습니다. 음 분리도 깔끔하게 되는 편이었고, 우퍼나 스피커의 소리에도 별다른 문제점은 발견하지 못했습니다. 기존의 저가형 사운드를 사용해서 그런지도 모르겠지만, 상당히 괜찮은 음질을 보여주는 듯 했습니다.
오디오 부분이 ' AC3 5.1CH @ 448 Kbps ' 압축된 매트릭스 3 리로리드 또한 재생해 봤는데, 게인워드 사운드 카드와 비교해, 상당히 부드러운 음질을 (게인워드는 날카롭다고 할까요...) 보여줘서 상당히 편안한 느낌을 주었습니다. 음분리 같은 면에서도 흠잡을 곳은 없는 듯 했습니다.
음악 감상 ( mp3 및 Audio CD 테스트 )
음악 테스트의 경우, 드림시어터의 DREAM THEATER - Six Degrees of Inner Tubulence (224Kbps/44khz) 의 mp3 파일 및 클래식 오디오 시디를 이용하여 테스트 해 보았습니다.
테스트 결과, 기존 게인워드보다 부드러운 듯한 음질을 보여주었으며, 노이즈 같은 면도.. 약간은 더 나아진 듯한 느낌이었습니다. 게인워드 사운드 카드를 몇개월 동안 사용했기 때문에, 약간 이질감이 든 것도 사실이지만, 그렇게 까지 문제가 될 부분은 들리지 않았습니다. 아마 취향이나 특성에 따라 다를 수도 있겠지만, 이런 위화감은 어느 제품이나 가변(?)하게 되면 느끼게 되는 것이므로, 그다지 상관은 없다고 생각됩니다.
그리고 추가로, 사운드 카드에 기본으로 제공되는 부분인 EAX CONSOLE 부분의 CMSS 3D 메뉴를 약간 조정하며 들어 봤습니다.
1. CMSS 사용시 : 기존의 미사용시보다, 음이 커져, 좀 더 명확하게 들리지만, 음이 약간 울리는 느낌이 있습니다. 이퀄라이저를 조정하는 듯한 느낌(Live 정도?)이 들었습니다.
2. 스테레오 서라운드 : 이것은 간단하게 2채널 오디오를 5.1 채널같은 다채널 스피커 사용자의 경우, 특정 스피커에만 소리만 들리는 것을 해결한 것으로 보시면 됩니다. 윈앰프 같은 경우, 세팅을 약간만 바꿔주면 해결되지만, 사블시리즈가 상당히 드라이버 지원이 잘 된다는 느낌이 드는 부분입니다.
스테레오 포커스의 경우, 전면과 후면 스피커의 소리의 비율을 바꿔주는 것으로, 거의 사용하는 일이 없겠지요..^^;
게임 테스트
아마 이 제품뿐만이 아니라, 사블시리즈에서 가장 큰 장점이 되고, 상당수의 사람도, 게임에서의 지원때문에 구입을 할 것입니다. EAX 지원 게임들과, 최신 발매된 둠3, 그리고 제가 간단하게 즐겨하는 월드오브워크래드프트 에 대한 느낌을 간단히 적겠습니다.
우선 약간 구작이지만, 파크라이에서의 느낌을 말하자면.. 이렇게 이질적일수 있느냐 입니다. ㅡㅡ;a 비교 제품이 사블과 가격차가 있지만, 게임에서 기존에는 안들리던 주변 소리라던지, 효과음 같은 것이 상당히 좋아진 느낌입니다.
파크라이 뿐만아니라, 월드오브워크래프트에서도 바닷가에 가니, 기존에 안들리던 바다 소리가 나더군요. ㅡㅡ;a 게임내 사운드 옵션을 다 켜져 있는 상태였었는데, 역시 게임에서는 사블을 따라 올 수 없다는 느낌을 지울수가 없었습니다.
DOOM3 의 경우에도, 상당히 사운드가 기존에 비해, 상당히 좋아진 느낌이 들었습니다.
테스트 결과를 종합하자면, 사블은 역시 사블답다는 결론입니다. 음악, 영화에서도 상당히 무난한 성능을 보여 줬으며, 특히 게임에서는 여타 사운드 카드가 따라올수 없는 것은 확실한 듯 합니다. 게임 테스트는 기존의 저가형에서 중가형인 사운드블래스터 Live 24BIT 7.1을 사용하면서, 가격차이가 느껴지는 부분이기도 했습니다.
▶ 마치며
지금까지 크리에이티브의 LP형 사운드 카드인 사운드블래스터 Live 24BIT 7.1를 테스트 해 보았습니다. 약 1~2 주일 정도를 사용하면서, 현재로서 가격대 성능비는 좋은 제품인듯 합니다. 기존 오디지1 시리즈가 자취를 감춘(?) 상황에서 사블 시리즈의 가격대 공백을 채워줄 제품으로 생각되며, 슬림형 컴퓨터 사용자도 이제는 사운드의 선택의 폭이 하나가 더 늘었다는 점에서 좋은 모습이 기대되는 제품입니다.
그리고 특히 음악과 영상에서는 타 제품에 비해 무난한 수준을 보여 줬으며, 게임에서의 사운드 지원을 가히 타 사운드 카드가 따라 올수 없는 상당한 차이를 느낄수 있는 듯 했습니다. 드라이버 지원 역시, 다른 제품보다, 좀 더 세밀한 지원 및 다양한 소프트웨어 지원으로 사용자의 편의가 생각되는 부분입니다.
기존의 SB Live 제품을 사용한 사람이라면, 별다른 느낌이 없을 수도 있겠지만, 새롭게 사운드 카드를 구입하고자 하는 사람에게는 5만원대 및 그 근처의 가격대의 사운드 카드 중에서는 상당히 좋은 선택이 될수 있는 제품이라 생각됩니다.
|